총 22개
-
성경적 종말론(마태복음24장,마가복음13장)2025.01.161. 성경적 종말론 성경을 통틀어 가장 많이 오해하고 잘못 해석한 구절이 있다면 종말에 관한 예수님의 말씀일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님의 예언만 다루고자 합니다. 종말에 관한 많은 사람의 생각과 오해하는 이유, 바른 해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마태복음 24장과 마가복음 13장의 위치와 문맥구조를 분석하여 성전 파괴와 종말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깨어 있어야 한다는 교훈을 전하고 있습니다. 1. 성경적 종말론 성경적 종말론은 인류 역사의 마지막 단계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을 나타냅니다...2025.01.16
-
예수님의 삶과 가르침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2025.01.041. 요한복음의 의의 요한복음은 예수님의 초대 유대 사역을 언급하며, 요한은 예수님을 증거하기 위해 온 사람이다. 요한복음의 기록 목적은 모든 이들을 믿게 하는 것이다. 예수님은 세상의 죄를 지고 가시기 위해 이 땅에 오셨으며, 우리는 주님의 은혜를 받으면서도 종종 망각하고 있다. 2. 지구 종말을 대비한 비전의 실천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전쟁 위협 등 인류가 직면한 위기 상황에서 믿는 자들에게 종말은 기쁘고 감격스러운 날이 될 것이다. 요한복음은 하나님의 아들이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오셨음을 강조한다. 우리는 개인적인 노력보다는...2025.01.04
-
구원의 보장과 탈락2025.01.131. 구원의 보장과 탈락 이 주제는 교단마다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단의 분열에는 정치적 문제가 포함되어 있지만, 조직신학적 측면에서 보면 구원론에 관한 갈등이 가장 첨예하지 않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구원의 보장과 탈락, 모두 가능한 이야기다. 무슨 말인가? 나는 내 구원이 탈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 나는 구원의 확신과 안정감을 갖고 있다. 2. 종말론적 시간 우리는 역사 가운데 평범한 시간을 살아가지 않는다. 성경이 말씀하는 이 시대의 성격이 어떠한가? 아주 '독특하다'라고 말한다. 신학적 용어로 표현하면, '...2025.01.13
-
노아 홍수 내러티브의 이해2025.01.161. 노아 홍수 내러티브 노아 홍수 내러티브는 성경의 시초론이면서도 종말론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나님의 한탄과 근심으로 인한 심판이 아니라 인간의 악함으로 인한 것이며, 노아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의인으로 선택되었다. 방주는 하나님의 언약과 구원의 상징이며, 노아 홍수 사건은 인류 멸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1. 노아 홍수 내러티브 노아 홍수 내러티브는 성경에 등장하는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는 인류의 죄악이 극에 달했을 때 하나님께서 노아와 그의 가족을 구원하시고 세상을 물로 씻어내셨다는 내...2025.01.16
-
구약성서와 생태신앙2025.05.011. 구약성서의 시간과 종말 그리고 생태학 시간은 인간의 삶과 자연의 운행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구약성서에서도 시간의 시작, 진행, 종말에 대한 신학적 반성이 나타나고 있다. 시간의 창조는 다른 창조의 시발점이 되며, 자연계의 천체 운행을 통해 드러난다. 개인의 죽음은 시간의 종말을 의미하며, 묵시가들의 종말 신앙은 시간과 역사의 종말을 소망한다. 그러나 이는 새로운 희망의 시작을 의미하기도 한다. 호세아 예언자는 계절의 순환과 곡물의 생장을 통한 새로운 시간 질서의 회복을 강조한다. 2. 구약성서와 물 물은 하나님의 ...2025.05.01
-
히브리서의 독특한 기독론과 종말론적 신학2025.11.131. 히브리서의 기독론 -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직 히브리서의 중심 기독론은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직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영광을 반영하며 그 본체의 형상이고 선재하신 분이다. 구약의 제사장직은 실재의 그림자에 불과하여 죄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나,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 죄는 단번에 제거되었다. 예수님은 대제사장이면서 동시에 하나님께 바치는 제물이셨으며, 자신을 제물로 드려 믿는 자들의 죄를 없애주셨다. 그는 새 언약의 중보자가 되어 영원한 기업의 약속을 얻게 하셨다. 2. 멜기세덱의 반차와 예수님의 제사장직의 우월성 히브...2025.11.13
-
감사로 사명을 감당하라(마태복음 25장14-30 주해와 설교)2025.01.281. 하나님 나라의 비유 마태복음을 쓴 저자와 이 복음서의 수신자 공동체는 임박한 종말 의식 속에서 깨어 있어야만 하는 절박한 상황 속에 처해 있었다. 마태는 하나님 나라 비유를 통해 각자에게 맡겨진 믿음의 분량대로 최선을 다해 살 것을 권면하고 있다.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뜻이 지배하는 나라이며, 내 뜻이 아닌 주인의 의지와 주권이 중요하다. 2. 달란트 비유의 해석 달란트 비유는 하나님 나라와 연관된 내용으로, 주인이 종들에게 자신의 소유를 맡기는 것을 통해 하나님께서 각자에게 사명을 주셨음을 보여준다. 다섯 달란트와 두 달란...2025.01.28
-
한국 장로교회의 종말론 레포트2025.01.161.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종말론 전통 한국 개신교 선교의 시작은 1884년을 기점으로 삼지만, 본격적인 장로교 선교는 1885년 부활주일에 아펜젤러와 더불어 한국에 온 호레이 언더우드(Horace Underwood, 1859-1916)로부터 시작되었다. 평양 선교부를 개척한 마포 삼열(Samuel Austin Moffett, 1864-1939)선교사가 800명이 넘는 한국인 목회자들을 양성하여, 초기 한국 교회의 모판의 역할을 잘 감당해내었다. 1925년에 이르러 최초의 한국인 신학교수 남궁혁이 임용되기 전까지 25년간은 전적으로 ...2025.01.16
-
육체적 종말론에 관한 신학 연구2025.11.121. 종말론의 개념 종말론(終末論)은 세상의 종말과 개인의 종말뿐만 아니라 영원한 세계에 관한 시간들까지 포함하는 신학 개념으로, 내세론(來世論)이라고도 불린다. 종말론은 '마지막 것들에 대한 이론'으로서 인간의 지상세상의 종말과 그 이후에 일어날 일들, 현 세대의 종말과 이후 세대에서 일어날 일들을 다룬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궁극적이며 최종적 목적을 보게 되며, 창조 전부터 하나님의 마음에 정해진 계획이 결실과 완성으로 인도된다. 2. 육체적 죽음의 성질 육체적 죽음은 신체(몸)와 영혼의 분리로 말미암은 육체적 생명의 종결이다....2025.11.12
-
성경의 바른 관점이 기독교 윤리학에 미치는 영향2025.11.141. 기독교 윤리학의 정의와 성경의 역할 기독교 윤리학은 하나님을 중심으로 도덕적 인과관계를 해석하고 인간의 도덕적 행위를 판단하는 학문이다. 성경을 하나님의 특별 계시 기록으로 보며, 성인, 선지자,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근거로 참된 선과 윤리적으로 올바른 행위를 판단한다. 성경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가져야만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임을 믿을 수 있고, 성경의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2. 성경에 대한 바른 관점의 세 가지 유형 성경에 대한 관점은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종말론적 측면에서 성경을 하나님의 구속 역사이자...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