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심폐소생술2025.01.281. 심폐소생술 교육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상태로, 조직으로의 혈류가 중단되고 산소와 영양소의 공급이 중단되어 세포가 괴사되고 각 기관의 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상실되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심폐소생술의 중요한 2가지 요소는 순환(심장을 비롯한 여러 장기에 혈액 공급)과 호흡(산소 공급 및 이산화탄소 배출)입니다. 각 단계별 행동요령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심정지 상태에서의 심전도 리듬 구분 심정지 상태에서 관찰되는 심장리듬에는 Ventricular fibrillation, Pulseless ventricular ...2025.01.28
-
VSIM Medical Scenario Case 4 Carl Shapiro2025.04.281. 급성 심근경색 54세 남성 환자 Carl Shapiro가 가슴 통증, 발한, 호흡 곤란으로 응급실에 내원했습니다. 응급실에서 아스피린과 설하 NTG를 투여해 증상이 호전되었지만, 12유도 심전도 결과 ST 분절 상승이 관찰되어 급성 심근경색이 의심되었습니다. 이후 환자에게 심실세동이 발생하여 CPR과 제세동 등의 응급 처치가 필요했습니다. 2. 심폐소생술 환자에게 심실세동이 발생하자 즉시 코드블루팀을 활성화하고 30:2의 비율로 CPR을 시작했습니다. 제세동기를 준비하는 동안 CPR을 지속하다가 제세동 후 다시 CPR을 시행했...2025.04.28
-
응급실(응급의학과)에 대한 사전학습2025.01.141. 두개내압(ICP) 상승 환자 간호 두개내압 상승은 신경외과 환자의 주요 사망원인이다. 두개강 내 내용물(뇌조직, 뇌척수액, 혈액)이 증가하면 두개내압이 상승하게 된다. 두개내압 상승 환자의 주요 증상으로는 의식수준 변화, 활력징후 변화, 동공 변화, 유두부종, 두통, 투사성 구토, 운동/감각 변화, 시각 변화 등이 있다. 간호중재로는 환기 유지, 영양요법, 뇌조직 관류 유지, 감염예방, 손상 방지 등이 필요하다. 2. 응급 시 사용하는 약물 응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로는 Epinephrine, Atropine, Calc...2025.01.14
-
CPR (Cardiopulmonary Resusitation) [BLS, ALS, PLS, 약물요법, 제세동, endotracheal intubation, Ambu bagging] [레포트, 지침서, 보고서, 과제, 응급실, ER, 실습]2025.05.081. 기본 생명소생술(BLS) 기본 생명소생술은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며, 심정지의 발생을 인지하고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응급조치이다. 현장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시행하여 정지된 혈액 순환 및 호흡기능을 유지시켜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을 유지하는 기본소생술이다. 2. 전문생명소생술(ALS) 전문 생명소생술은 심장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해 전문 기도유지, 약물투여(에피네프린)와 심전도 감시 및 심전도에 바탕을 둔 전기적 제세동 등의 장비를 사용하는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3. 소생 후 치료(PL...2025.05.08
-
심폐소생술(ACLS) 분담주제 보고서2025.01.241. 기본 심폐소생술 과정 (Basic Life Support; BLS) 기본 심폐소생술은 의료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시행되는 심폐소생술로, 가슴압박(Compression)-기도개방(Airway)-인공호흡(Breathing) 순서로 진행한다. 반응이 없는 환자 발견 시 119에 신고하고 자동제세동기를 준비한다. 맥박과 무호흡 또는 비정상 호흡을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을 시작한다. 가슴압박은 딱딱한 바닥에 눕히거나 단단한 판을 등에 대어주며, 검상 돌기 아래쪽 절반 부위를 강하고 규칙적으로 빠르게 압박한다. 인공호흡은 머리 젖히기-턱 들어...2025.01.24
-
CPR 기록2025.01.051. 심폐소생술 기록 이 문서는 심폐소생술 과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입니다. 환자의 상태가 무의식이며 청색증이 있어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심장박동과 맥박이 촉지되지 않아 심장마사지를 시작했고, 제세동기와 산소 공급을 요청했습니다. 심전도 모니터링 결과 무수축 또는 무맥성 전기활동 리듬이 확인되어 계속해서 심장마사지를 시행했습니다. 정맥로를 확보하고 에피네프린을 투여했으며, 기관 삽관과 인공호흡기 적용 등의 처치를 진행했습니다. 이후 자발순환회복이 되었고, 진정제와 근이완제 투여, 승압제 투여 등의 처치를 계속했습니다. 1. 심폐소생술...2025.01.05
-
EKG & CPR2025.01.241. EKG 심전도(electrocardiogram, EK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심근세포의 탈분극과 재분극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신체 표면에서 측정하여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전도에서 관찰되는 주요 파형과 간격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CPR 심정지(cardiac arrest)는 심장의 펌프 기능이 중단된 상태를 말합니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전신 혈액순환이 중단되어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차단되므로 신속한 응급처치가 필요합니다. 심폐소생술(CPR)은 인공적으로 혈...2025.01.24
-
심실세동을 위한 제세동 전략 _ 저널리뷰2025.01.061. 심실세동 이 논문은 난치성 심실세동 환자의 결과를 개선하기 위한 제세동 전략으로 이중 순차 외부 제세동(DSED)과 벡터 변경(VC) 제세동을 제안하고 이를 표준 제세동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 제세동을 받은 환자보다 DSED 또는 VC 제세동을 받은 환자에서 병원 퇴원까지의 생존율이 더 높았다. 이를 통해 단일 제세동기 시스템을 이용한 VC 제세동의 사용이 대안적인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제세동 이 논문은 난치성 심실세동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제세동 기술로 이중 순차 외부 제세동(DSED)...2025.01.06
-
응급간호 간호술 적용 보고서(KALS)2025.05.111. 전문심폐소생술 전문 심폐소생술의 치료는 심정지의 예방과 치료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심정지 대상자의 기도관리, 호흡 환기 보조, 서맥성 부정맥과 빈맥성 부정맥의 치료를 포함한다. 심정지 환자의 치료 과정은 심장 상태의 신속한 인지와 응급의료체계의 활성화, 신속한 심폐소생술, 신속한 제세동 및 약물치료를 동반한 자발순환 회복, 전문기도 처치와 생리적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한다. 2. 심정지 후 치료 심정지로부터 자발순환이 회복된 후에는 여러 장기의 기능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통합치료가 필요하다. 통합치료에는 기도확보, 적절한...2025.05.11
-
관상동맥질환 내용 정리 보고서2025.01.151. 관상동맥질환의 병태생리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은 심장 주변의 관상동맥이 혈류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주로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노폐물이 쌓여 혈액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발생한다. 동맥경화, 혈전 형성, 혈관 경련 등이 주요 원인이며, 이로 인해 심근경색증, 협심증, 심부전 등의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2.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에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흡연, 운동부족, 고지방 식습관, 과다한 염분섭취, 과...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