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한국어 말소리의 산출 과정: 발동, 발성, 조음2025.11.171. 발동(Initiation) 말소리 산출의 첫 단계로 기류의 생성을 담당합니다. 대부분의 말소리는 폐에서 나오는 날숨으로 생성되며, 기류 생성의 장소와 방향에 따라 분류됩니다. 허파-후두-목청-성문 순으로 진행되며, 성문의 열림과 닫힘이 빠른 속도로 반복됩니다. 발동 과정에서 생성된 기류가 이동하면서 1차 변형을 일으키고 말소리의 기본 성격이 형성됩니다. 2. 발성(Phonation) 발동 과정에서 생성된 기류가 성대에서 조절되는 과정입니다. 성대는 기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역할을 하며, 성대 진동 여부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2025.11.17
-
언어권별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방안2025.11.151. 한국어 자음 체계 한국어 표준어는 19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음위치와 방법에 따라 분류된다. 자음은 양순음, 치조음, 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나뉘고, 평음, 격음, 경음, 비음, 유음으로 구분된다. 각 자음은 고유한 음가를 가지며 모음과 결합하여 음절을 형성한다. 특히 파열음 계열의 평음/격음/경음 대립과 유음 /ㄹ/의 환경에 따른 변이음이 외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운 부분이다. 2. 한국어 모음 체계 및 지도 순서 한국어 표준어 모음은 단모음 10개와 이중모음 11개로 총 21개이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단모...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