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CPR case study2025.01.221. 응급간호 (emergency care) 돌발적이고 예기치 못한 긴급 상황에 처한 대상자에게 생명을 구하고 유지하며, 질병이나 손상의 악화 방지를 막고 통증 경감을 위하여 신체적 심리적인 문제를 즉시 사정하고 진단, 치료를 제공하는 인명 구조술 2. 응급환자 분류 1)긴급 환자(red) : 위기 혹은 생명 위험 - 즉각적인 치료를 받아야 생존 가능 - 기도폐쇄, 심장마비, 심한 쇼크, 의식 불명 등 2)응급환자(yellow) : 중함 - 초기 응급치료를 받은 후 후송을 기다릴 수 있는 대상자 - 고열, 경증의 화상, 열상, 뇌졸...2025.01.22
-
A+ 지역사회간호학 임상실습 학교 간호과정 Case Study (부적절한 관리와 관련된 호흡기계 질환 위험성, 과도한 학습과 관련된 부적절한 시력 관리)2025.01.121. 부적절한 관리와 관련된 호흡기계 질환 위험성 쉬는 시간임에도 창문을 열지 않는다. 쌀쌀한 날씨임에도 교복 하나만 입는다. 대기오염이 심하다. 양치질 시행이 부적절하다. 관련 질환의 증상이 있음에도 집에서 마스크를 끼지 않고 학교에 와서 마스크를 빌려 가는 모습이 관찰된다. 음수대 사용 시 개인 컵을 이용하지 않는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관한 안내 사항이 부착되어있는 반이 있고 없는 반이 있다. 2. 과도한 학습과 관련된 부적절한 시력 관리 쉬는 시간에 불을 끄는 모습이 관찰됐는데, 그 중에서 공부하느라 불을 켜지 않고 공부하...2025.01.12
-
심혈관계 환자 간호 및 응급관리2025.11.151. 순환기계의 구성과 기능 순환기계는 심장, 혈액, 혈관, 림프계로 구성된다. 심장은 주먹 크기의 근육 장기로 1분에 60~80회 수축하며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한다. 혈관은 심장에서 뿜어내는 혈액을 전달하는 도로 역할을 하며, 총 길이가 지구를 거의 두 바퀴 도는 정도로 매우 길다. 순환기계는 세포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설기관으로 이동시키며, 호르몬을 전달하고 면역작용에 관여한다. 2. 협심증과 급성 심근경색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