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2개
-
플라스미드 DNA 정제2025.01.121. 플라스미드 DNA 분리 플라스미드 DNA는 재조합 DNA 조작을 위한 운반체 DNA로 사용되며, 대장균에 플라스미드를 삽입하는 과정을 Bacterial Transformation이라고 한다. 대장균 세포에는 플라스미드 DNA와 염색체 DNA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므로, 플라스미드 DNA를 따로 분리하는 과정을 Purification of plasmid DNA라고 한다. 알칼리 용해법(Alkali lysis)은 높은 pH의 알칼리성 용액을 사용하여 세포벽과 세포막을 용해시킨 후, 산성 용액을 처리하여 플라스미드 DNA만을 분리해내는...2025.01.12
-
DNA 구조 및 추출2025.01.191. DNA 구조 DNA는 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라고 하는 단량체가 사슬의 형태로 연결된 중합체이며, 2개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가닥으로 이루어진 이중나선 구조의 고분자 화합물이다. DNA를 구성하는 각각의 뉴클레오타이드는 아데닌(A), 사이토신(C), 타이민(T), 구아닌(G) 중에서 하나의 질소 함유 염기를 가진다. 이 질소 함유 염기는 피리미딘과 퓨린의 2종류로 나뉘며, 각 염기에는 작용기가 부착되어 있어 단 한 가지 종류의 짝과 수소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2. DNA 추출 DNA 추출 과정에서 buffer1의 EDTA는 세포...2025.01.19
-
일반화학실험 레포트 양이온정성분석2025.04.251. 정성 분석 정성 분석은 시료에 들어있는 화학종, 즉 분석물(analyte)이 무엇인지와 같은 비수치적인 정보를 결정하는 것으로, 분석물의 농도 혹은 양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정성 분석은 정량 분석만큼 신뢰할 수는 없지만 종종 훨씬 더 쉽고 빠르고 저렴하게 수행할 수 있다. 2. 정량 분석 정량 분석은 시료에 존재하는 특정 화학종, 혹은 여러 가지 화학종들의 절대적인 양 혹은 상대적인 양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시료 속에 존재하는 성분들이 무엇인지 특정을 하게 되면 각 성분들의 절대적인 양 혹은 상대적인 양을 결정하는 정량...2025.04.25
-
단백질의 분리2025.01.231. 단백질 분리 실험을 통해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세포 내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을 익혔다. 단백질 분리를 위해 세포를 깨고 RIPA 버퍼에 녹인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이 상층액에는 세포에서 추출된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2. SDS-PAGE SDS-PAGE는 단백질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기법으로, 단백질이 SDS에 의해 변성되어 전하/분자량 비율이 동일해지면 전기장 내에서 크기에 따라 이동속도가 달라져 분리된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분자량을 확인할 수 있다. 3. 세포 용해 세포를 깨는 방법에는 homogeniza...2025.01.23
-
Synthesis of highly uniform 400nm silica spheres2025.05.011. 실리카 구 합성 이번 실험에서는 sol-gel 방법을 이용해 400nm 크기의 균일한 실리카 구를 합성했다. 먼저 에탄올, 물, 암모니아수를 섞어 염기성 환경을 만들고, 여기에 TEOS(tetraethyl orthosilicate)를 넣어 가수분해와 축합 반응을 통해 실리카 콜로이드를 형성했다. 이렇게 생성된 실리카 콜로이드를 원심분리하여 세척하고 건조하여 최종 생성물을 얻었다. SEM 분석 결과 377-513nm 크기의 균일한 실리카 구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했다. 이 실험을 통해 sol-gel 방법으로 실리카 입자의 크기를 조...2025.05.01
-
아주대 생실1) Plasmid DNA 추출 보고서2025.05.101. 플라스미드 DNA 추출 이 실험을 통해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하고 전기영동을 통해 플라스미드 DNA의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플라스미드는 생장에 필수적인 염색체 DNA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대표적인 에피솜 DNA 분자로, E.coli 세균에서 플라스미드를 추출하여 DNA를 관찰했습니다. 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버퍼를 사용했는데, 이는 플라스미드 DNA 추출을 위한 것입니다. 실험 결과 3kb와 10kb 부분에서 플라스미드 DNA가 관찰되었으며, 3kb 부분은 Linear DNA, 10kb 부분은 Open-circu...2025.05.10
-
[A+ 리포트] Subculture (세포생물학실험)2025.04.251. 세포 배양 세포 배양 실험을 위해 clean bench 내부를 소독하고 실험 재료를 준비합니다. 배양액을 37°C로 유지하고, 세포 상태를 현미경으로 확인합니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합니다. 분리된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릿을 수집하고, 새로운 배양액에 재현탁하여 새로운 배양접시에 분주합니다. 2. 현미경 관찰 세포 배양 접시를 현미경 위에 올려놓고 세포의 상태를 관찰합니다. 세포 밀도가 70-80% 정도인지 확인합니다. 3. 트립신 처리 트립신-EDTA 용액을 세포 배양 접시...2025.04.25
-
Plasmid DNA 분리 예비레포트2025.04.261. 플라스미드 DNA 플라스미드는 생장에 필수적인 염색체이며 DNA에서 물리적으로 분리 돼 있는 대표적인 에피솜 DNA분자입니다. 플라스미드는 유전자 클로닝, 유전자 전달, 외래 유전자 또는 재조합 유전자 발현, 유용 단백질 생산, 백신 상산 등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플라스미드 DNA는 염색체 DNA와 달리 작은 환형 DNA이기 때문에 변성 후 회복이 상대적으로 빨리 이루어집니다.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습니다. 2. 플라스미드 DNA 분리 원리 플라스미드 DNA 분리의 핵심 원리는 변성된 DN...2025.04.26
-
[식품생화학실험] 글리코겐분리실험(Glycogen Purification)2025.05.041. 글리코겐 분리 이번 실험은 고등 동물의 주요한 저장 다당류로서 글리코겐 분리하기 위해 동물의 간, 95% 에탄올 5% TCA(Trichloroacetic acid), 원심분리기, 진공건조기를 이용하여 간에서 글리코겐을 분리하고 글리코겐 수득률을 구해보고 또 요오드 정성실험을 통해 색변화를 관찰하여 글리코겐을 잘 분리하였는지 알아보는 글리코겐의 정량실험과 요오드 정성실험을 해보았다. 2. TCA와 에탄올의 역할 TCA를 이용하여 침전시켰을 경우 침전물에는 간 속에 존재하는 글리코겐,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물질 여러 기타요소가 존재...2025.05.04
-
[일반화학실험] 양이온의 정성분석 예비&결과 레포트 - A+ 완전보장!!!2025.05.051. 양이온의 정성분석 양이온의 정정분석이란 단일물질 또는 혼합물의 조성 중 양이온 성분을 화학적인 성질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실험법이다. 특히 혼합물을 분석할 경우에는 계통적인 실험법이 요구되므로 검출물을 적당한 용매에 녹여 용액으로 만든 후 여러 가지 시약을 가하여 화학반응을 시키고 각 성분 이온으로 분리한 후, 확인반응을 통하여 검출하는 습식법과 필요에 따라 불꽃반응과 같은 고온에서의 물질의 특성을 이용한 건식법도 이용된다. 2. 양이온의 분족 이 실험에서는 H2S분석법에 따라 약 20여 종의 양이온을 표 35-1에서와 같이 6...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