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9개
-
철학의 이해2025.01.241. 인간의 본성 플라톤은 인간을 '자기가 본 것을 탐구할 수 있는 자'로 설명하였다. 인간이 자신이 경험하거나 자신에게 관련되었던 일을 주관적인 입장이 아닌 제삼자의 입장에서 객관화시킬 수 있고 그것을 탐구할 수 있는 존재로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이 인간에게만 이성을 부여하였는데 이는 주어진 것이지 인간이 선택한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인 이성은 본성을 실현하는 능력인 '덕'을 갈고 닦아야만 발휘될 수 있다고 보았다. 칸트는 인간은 시간과 공간 안에 주어진 것을 자신의 방식으로 인식한다고 하였다. ...2025.01.24
-
대중문화 소비와 욕망의 관계2025.04.281.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소비 드라마 <오징어 게임>은 서구 문화권 소비자들의 '약자에 대한 가감없는 차별과 폭력'에 대한 욕망을 충족시켜주었다. 이를 통해 서구 사회 구성원들은 폭력적 장면을 통한 카타르시스를 느끼면서도 다양성을 존중하는 선진 시민으로서의 자격을 획득할 수 있었다. 2. 오디션 프로그램 <싱어게인>의 소비 오디션 프로그램 <싱어게인>은 대중에게 '실력 중심의 공정 경쟁'과 '경쟁 뒤에 숨겨진 참가자들의 눈물'을 보여줌으로써 힘든 상황을 극복하고 성공을 쟁취하고자 하는 욕망, 그리고 공정하게 실력만으로 경쟁하여...2025.04.28
-
계몽주의 도덕에 대한 비판으로 읽히는 '위험한 관계'2025.01.151. 계몽주의 도덕과 '위험한 관계' 라클로의 소설 '위험한 관계'는 18세기 프랑스 귀족 사회를 배경으로 도덕적 타락과 권력 남용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이 소설은 계몽주의 시대에 쓰였으며, 당시 지배적이던 도덕과 윤리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두 주인공 메르테유 부인과 발몽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이들의 행동과 사고방식이 계몽주의 도덕에 대한 비판의 근거가 된다. 2. 메르테유 부인의 역할과 비판 메르테유 부인은 소설의 주요 인물로, 뛰어난 지성과 매력을 지녔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의 이익과 쾌락을 위해 다른 ...2025.01.15
-
욕망에 눈이 먼 남자, 심학규 / 설화 심청전의 인물 심학규를 중심으로2025.04.281. 아버지로서의 심학규 심학규는 아내 곽씨부인이 심청을 낳고 죽자 동냥젖으로 심청을 홀로 길렀다. 눈을 뜨고 싶은 일념으로 화주승에게 공양미 300석을 시주하겠다고 약속을 하여 딸을 잃고 혼자 남았다. 뺑덕어멈이란 여자를 후실로 삼았으나, 남은 재산마저 탕진되어 거지가 되었으며 황성에서 베푼 맹인 잔치에 참석, 왕후가 된 딸을 만나 눈을 떴다.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져 영화를 누렸다. 2.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아버지상' 과거의 아버지들은 쉽게 다가가지 못할 어렵고도 높은 존재였다. 아버지가 잘나든 못나든 존경해야 마땅한 존재였...2025.04.28
-
영화 <욕망의 모호한 대상>과 <그녀>를 통해 살펴본 환멸과 성장 사이의 욕망2025.01.021. 욕망의 모호성 영화 <욕망의 모호한 대상>과 <그녀>에서 주인공들의 욕망은 결코 충족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티유는 콘치타라는 대상에 자신의 나르시시즘적 선호를 투영하고 있으며, 테오도르 또한 캐서린과 사만다에게 자신의 이상적인 모습을 투사하고자 한다. 이처럼 욕망의 대상은 주체 외부에 존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주체는 결국 소외되고 만다. 또한 욕망의 대상은 언어의 기표와 기의 사이를 오가며 결코 고정된 의미를 갖지 못하는 모호한 존재로 나타난다. 2. 욕망과 성장 그러나 이러한 욕망의 좌절과 공허함 속에서도 주인공들...2025.01.02
-
철학의 이해: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삶2025.01.241. 인간의 본성: 이성적 존재 vs. 욕망하는 존재 플라톤은 감각에 속지 않는 이성적 인간을 인간다운 인간으로 보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다. 칸트는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고 하며, 정언명령을 통해 보편적 행위 원리를 강조했다. 홉스는 사회계약을 통해 자기보존을 위한 규칙이 만들어진다고 보았고, 흄은 도덕이 감정에 의해 발동된다고 보았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이 인간을 결정짓고, 도덕은 감정과 욕구에 의한 행위라고 보았다. 2. 유가 사상의 도덕적 삶 유가는 인간의 본성이 도덕적이라고 ...2025.01.24
-
철학의 이해2025.01.241.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 플라톤은 인간을 자신이 본 것을 탐구할 수 있는 자라고 설명하였다. 이 탐구를 통해 대상을 객관화하며, 여러 사태를 동시에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았다. 플라톤이 생각하는 참된 세계는 이데아계로서, 이데아에 대한 인식이 참된 지식이고, 감각에 속지 않은 인간이 인간다운 인간이라고 생각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이성을 따르는 영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의하는 이성은 인간이라는 유기체에 적합한 것이 무엇인지 발견하는 능력이며, 이 이성적인 ...2025.01.24
-
[행복론A+] <행복하려면 먼저 자유로워져라>를 읽고서 요약 및 감상_중간고사 대체 레포트2025.01.171. 욕망과 행복의 본질 이 장은 욕망과 행복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다루고 있다. 플라톤의 에로스 이론부터 현대의 사회적 소비 문화까지 철학적인 개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면서 다양한 관점을 포함하고 있다. 욕망의 불완전성과 쾌락의 일시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있으며, 외부에서 행복을 찾는 시도의 어려움을 인간 본성의 깊은 이해를 통해 탐구하고 있다. 2. 행복과 자유 밀의 행복론은 자유를 중요시하며 행복을 삶의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행복은 기쁨을 주며 고통이 없는 상태로, 물질적인 쾌락만이 아니라 지적, 감성적, 도덕적 능력의...2025.01.17
-
고대 철학자들이 이야기하는 사랑이란?2025.01.261. 플라톤의 향연 플라톤의 향연은 인류 최고의 철학자 중 한 명인 플라톤의 대화 중에서도 '국가' 다음으로 가장 널리 알려지고, 많이 읽는 작품이다. 이 책에는 7인의 연사가 등장하는데, 각자 사랑에 대한 견해를 펼치며 아름다움과 영원함을 향한 인간의 갈망과 행복의 가능성, 한계 의식 등을 다룬다. 향연에서 다루는 사랑은 자아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명예와 용기, 덕과 같은 가치를 함양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며, 육체의 쾌락 등 다양한 종류의 사랑 중에서도 영혼이 덕을 함양할 수 있게 수행하는 것이 사랑이라고도 한다. 또한 하나였던 ...2025.01.26
-
스피노자 <에티카> 제3부 '정서의 기원과 본성'2025.01.171. 정서의 기원과 본성 스피노자는 정서의 본성과 힘, 그리고 정서에 대한 정신의 능력을 기하학적 방법으로 고찰하고 있다. 그는 정서가 자연의 필연성과 힘에서 생긴다고 보며, 정서를 욕망, 기쁨, 슬픔의 세 가지 기본 정서에서 생겨난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기본 정서들은 외적 원인이나 내적 원인에 따라 다양한 파생 정서들로 나타난다. 2. 욕망, 기쁨, 슬픔의 세 가지 기본 정서 스피노자는 욕망, 기쁨, 슬픔을 인간의 본질과 완전성에 관련된 세 가지 기본 정서로 정의한다. 욕망은 인간의 본질이 주어진 정서에 따라 어떤 것을 행할 수 ...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