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출애굽기 30장에서 관유와 향의 공통점과 차이점2025.01.201. 관유와 향의 의미 출애굽기 30장에 나오는 관유와 향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관유는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으로부터 우리에게 오시는 것을 상징하며, 향은 우리가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께로 가는 것을 상징한다. 이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거룩한 교통을 나타낸다. 2. 관유와 향의 순서 관유는 먼저 바르고 그 후에 향을 피우는 순서로 진행된다. 이는 하나님께서 먼저 우리에게 오셔서 우리를 거룩하게 하시고, 그 후에 우리가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께로 나아가는 것을 보여준다. 3. 기름 바름과 분향 관유를 바르는 것은 우리가 그...2025.01.20
-
시편 119편: 그리스도의 진리와 체험과 누림2025.11.131. 시편 119편의 구조와 특징 시편 119편은 성경에서 가장 긴 장으로 176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히브리어 알파벳 22개 글자의 순서에 따라 구성되었다. 각 글자마다 8절씩 총 22개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같은 단락의 모든 구절은 동일한 히브리어 글자로 시작한다. 이는 율법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 시편으로, 에베소서 전체보다 더 많은 구절을 포함한다. 2. 율법의 동의어와 하나님의 말씀 시편 119편에서 율법은 일곱 개의 동의어로 표현된다: 증거, 말씀, 율례, 규례, 법도, 판단, 계명. 이 모든 표현은 결국 길이 되며,...2025.11.13
-
아브라함의 이삭 제물 바침과 하나님에 대한 이해2025.01.031. 아브라함의 이삭 제물 바침 아브라함이 자신의 아들 이삭을 제물로 바치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한 이유는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믿음 때문이었다. 아브라함은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을 놓고 하나님과 협상을 벌였지만, 이삭을 바치라는 명령에는 일언반구의 이의도 없이 순종했다. 이는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아브라함의 믿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통해 하나님의 구속사적 계획이 예시되었다. 아브라함의 순종은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는 후에 하나님의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제물로 바치는 사건과 연결된다. 2. 하나님에...2025.01.03
-
성령론: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학적 이해2025.11.141.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 에드워즈는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의 정통적 삼위일체론을 믿고 변호했으며, 이를 체험적이고 실천적으로 살아냈다. 그는 심리학적 모형과 사회적 모델을 사용하여 삼위일체를 설명했고, 내재적 삼위일체론과 경륜적 삼위일체론으로 구분하여 연구했다. 특히 성령은 성부와 성자에게서 나오는 제3위격으로서 신적 본질을 가지며 영원하고 필연적인 존재임을 강조했다. 2. 구속사역에서의 성령의 역할 에드워즈는 구속사역의 세 시기(구약시대, 그리스도의 비하기간, 부활 이후)에서 성령의 역할을 강조했다. 성령은 구속 사역의...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