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안보와 군비통제: 국제안보 정책의 현실과 과제
2025.11.13
1. 집단안보의 현실
집단안보는 UN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국제안보 체제이나 여러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보편주의와 지역주의의 충돌로 인해 UN의 권위가 제약되며,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으로 인한 강자의 논리가 작용한다. 또한 안보리와 총회 간의 권능 다툼으로 인해 집단안보 기능이 저해되고 있다. 냉전 종식 후 UN의 역할이 확대되었으나 NATO의 코소보 개입 등에서 보편주의와 지역주의의 충돌이 여전히 존재한다.
2. 군비통제의 정의와 방식
군비통제는 전쟁 가능성을 억제하고 전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국가 간 협력 활동이다. 군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