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어말어미, 선어말어미라는 용어의 합당성 검토2025.01.041. 어말어미와 선어말어미의 개념 어말어미는 활용 어미에서 맨 끝에 나오는 어미를 말하며, 선어말어미는 어말어미 앞에 나타나는 어미를 말한다. 선어말어미에는 높임 선어말어미 '-시-', 공손 선어말어미 '-옵-', 시제 선어말어미 '-(은)는-', '-었-', '-겠-' 등이 있다. 2. 어말어미/선어말어미 용어의 합당성 검토 어말어미가 반드시 단어의 끝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종결어미나 연결어미 등이 문장의 끝이 아닌 곳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어말어미/선어말어미'라는 용어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새로운 용어로 ...2025.01.04
-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과 특성2025.11.121.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국어 문법 연구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온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은 형태론적 관점과 의미론적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다. 형태론적 관점의 인칭·대상 활용설은 허웅이 주장한 것으로, 종결형·연결형에서 '-오/우-'는 1인칭 주어 대명사일 때 나타나는 인칭 활용 어미이고,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우-'는 대상 활용 어미라고 본다. 의미론적 관점의 의도법설은 이숭녕이 주장한 것으로, '-오/우-'가 화자의 의도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2. 인칭법 선어말어미 '-오/우-' 인칭법 선어말어미 ...2025.11.12
-
한국어의 시제 체제를 이분체계와 삼분체계로 구분하는 관점에 관하여 설명하고 한국어의 시제를2025.01.111. 한국어 시제 체계의 구분 한국어 문법에서 시제 체계를 이분체계와 삼분체계로 구분하는 관점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이분체계에서는 과거와 현재로 구분하지만, 삼분체계에서는 과거, 현재, 미래로 구분합니다. 한국어의 경우 현재시제가 미래를 나타내기도 하여 이분체계로 볼 수 있지만, 미래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겠-'이 있어 삼분체계로 볼 수도 있습니다. 2. 한국어 삼분체계 시제의 형식과 범위 한국어 시제의 삼분체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과거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선 경우, 현재시제는 발화시와 사건시가 일치하는 경우...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