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개
-
PCR 관련 퀴즈 및 정답(생화학) A+ 과제레포트2025.01.201. PCR의 3단계 procedures PCR 반응요소에는 Target DNA, Primers (oligonucleotides complementary to target), Nucleotides(dATP, dCTP, dGTP, dTTP), Thermostable DNA polymerase가 있다. PCR의 세 가지 반응 단계는 DNA 변성 (Denaturation), primer 의 Annealing, 신장 반응 (Extension)이다. DNA 변성 단계에서는 95℃의 열을 가해 DNA 이중 가닥을 분리시킨다. Annealing...2025.01.20
-
아주대 생물학실험 1 생물정보학실습2025.01.121.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은 생물학적 데이터를 저장, 검색, 구성하고 분석하는 데 생물공학 IT를 사용하는 분야를 일컫는다. 유전체 서열 프로젝트나 여타 연구에서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생성되었는데, 이 데이터 웨이브의 결과 생물학 분야의 난제는 대부분 컴퓨팅 쪽 문제로 바뀌게 되었다. 생물정보학이라는 용어는 1970년 Paulien Hogeweg와 Ben Hesper가 처음 사용한 말이다. 현재는 좀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어 컴퓨터 구조 생물학, 화학 생물학과 시스템 생물학 등을 포괄한다. 2. NCBI NCBI는 미국 국립보건원 ...2025.01.12
-
Gene Expression Analysis and Gene Set Enrichment Analysis2025.01.181. 전사체 데이터 유전 요인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의료 분야에서는 사람들의 유전적 성향을 파악하여 질병을 예측, 예방하고, 개인의 유전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 의료 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맞춤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유전정보를 분석해야 하는데, 이 경우 전사체 (transcriptome: 세포나 조직에서 한순간 발현되는 전체 RNA의 모음을 의미한다. 이 RNA들을 이용하여 조직에 따라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 전사체 분석을 통해 정상 세포와 비정상 세포...2025.01.18
-
아주대학교 A+ 생명과학실험 생물정보학실습2025.01.131.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은 수학이나 통계학을 기초로 하여 컴퓨터를 이용해 생물학을 연구하는 학문을 의미한다. BLAST는 DNA 염기 서열과 아미노산 서열 등과 같이 생물학적 서열 정보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이며, BLOSUM은 서열을 정렬할 때 쓰이는 치환 행렬로 두 아미노산 간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매트릭스이다. 다중 서열 정렬(MSA)은 3개 이상의 DNA 염기 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을 한꺼번에 묶어서 정렬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ClustalW이다. 2. BLAST BLAST는 DNA 염기 서열과 아미노산 서열 등과...2025.01.13
-
원생생물과 균류의 진화적 차이 및 척추동물의 구조와 기능 비교2025.01.291. 원생생물과 균류의 진화적 차이 실험을 통해 원생생물계의 짚신벌레와 유글레나, 균류의 푸른곰팡이와 표고버섯을 관찰하였다. 짚신벌레와 유글레나는 단세포 생물로 운동성을 가지며, 유글레나는 광합성도 가능한 생산자이다. 반면 푸른곰팡이와 표고버섯은 다세포 생물로 운동성과 광합성이 없는 분해자이다. 이를 통해 원생생물계와 균계의 진화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2. 척추동물의 구조와 기능 비교 BALB/c 마우스를 해부하여 장기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하였다. 간, 위, 심장, 뇌 등의 장기를 분리하여 인간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인...2025.01.29
-
생물학실험1_생물 정보학2025.05.011.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물학을 연구하는 모든 분야를 포함하는 학문입니다. 생물정보학은 유전체 서열에서 유전자를 찾아내고 데이터베이스 자료와 비교하여 유사성 정도를 확인하며 유전자 산물의 구조와 기능을 예측하고 진화적인 관계를 유추하는 등 많은 일에 사용됩니다. BLAST와 같은 생물정보학 프로그램은 다양한 단백질들의 아미노산 서열이나 DNA 염기서열을 비교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하고 유사한 유전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2. BLAST BLAST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나 아미노산 ...2025.05.01
-
생물정보학을 활용한 유전자 서열 분석2025.01.041.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은 생물학 분야의 해석을 통계학과 컴퓨터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생물학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전자를 해석하고 기능을 유추해내는 작업을 하는 학문입니다. NCBI는 생물학의 구글이라고 볼 수 있는 국립 생물 공학 정보센터로, 온라인으로 유전자나 단백질 서열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BLAST는 연구 과정에서 얻은 아미노산 서열이나 DNA 염기 서열을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알고리즘입니다. BLOSUM은 단백질 간 서열의 유사성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 아미노산 간 치환 확률을 나타내는 행렬입니다. 이를 통해...2025.01.04
-
[바이러스학 논문 포스터] tRNA Prediction by Codon Usage2025.04.271. tRNA 예측 이 연구에서는 박테리오파지의 tRNA 수를 예측하고, 박테리오파지와 숙주 박테리아 간의 코돈 사용 빈도를 비교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박테리오파지의 tRNA 수가 적을수록 더 많이 발견되었으며, 박테리오파지의 코돈 사용 빈도가 숙주 박테리아와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샘플을 사용하여 정확성을 높이고, 박테리오파지의 tRNA 부재 또는 적은 이유를 규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1. tRNA 예측 tRNA(transfer RNA) 예측은 생물학 및 생명정보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2025.04.27
-
AI와 DNA 시퀀싱2025.01.151. 유전자와 AI DNA 시퀀싱은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알아내는 과정으로, 인간의 염색체에는 30억 쌍의 염기서열이 있어 엄청난 크기의 데이터를 다루게 된다. 이에 유전학에서는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고자 AI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분야가 AI 시퀀싱이다. 2. DNA 시퀀싱 DNA 시퀀싱은 생화학적 방법으로 생명체의 모든 세포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과거에는 30억 개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데 13년과 30억 달러가 소요되었으나, 현재는 기술 발달로 비용이 크게 감소했다. 다양한 DNA 시퀀싱 방법...2025.01.15
-
아주대 생물학실험1 결과보고서 [7주차 생물 정보학]2025.01.031.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은 생물학과 정보학의 합성어로, 생물학적 데이터의 양적 진화와 해석하는 도구의 발전을 바탕으로 발달한 학문입니다. 생물정보학의 최종적 목표는 많은 생물학적 데이터의 올바른 확립, 데이터의 올바른 분석, 그리고 의미 있는 해석과 예측입니다. 생물정보학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기술이 활용되며, DNA 서열 분석, RNA/단백질 발현 분석, 구조생물정보학, 시스템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생물정보학 기관으로는 NCBI와 EMBL-EBI가 있습니다. 2. BL...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