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천도교의 창건과 의암 손병희2025.01.151. 의암 손병희의 청년기 손병희는 1861년 충청북도 청원군에서 태어났다. 아전(衙前)으로 일하는 아버지의 신분은 양반이었으나, 재가녀의 자식이었기 때문에 그는 서얼(庶孼)층에 속했다. 이에 따라 문중(門中)과 사회의 차별을 직접적으로 경험했을 뿐 아니라, 조선후기까지도 재가녀자손금고법(再嫁女子孫禁錮法)의 시행으로 재가녀의 자손은 과거에 응시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는 일찍이 공부를 그만두었다. 하지만 옥에 갇힌 친구 아버지의 석방을 위해 자기 집의 돈 있는 곳을 알려주거나, 심부름으로 관청에 공금을 내러 가는 중 눈길에 쓰러진 사...2025.01.15
-
메이로쿠 잡지: 문명개화의 공론장2025.01.251. 메이로쿠 잡지의 중요성 메이로쿠 잡지는 서양의 과학, 철학, 교육,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일본 사회에 소개했다. 이는 일본이 서양 문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자국의 전통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발전시켜 나갈지에 대한 심도 깊은 고민이 담긴 결과였다. 특히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근대 국가의 발전을 위한 기초로 여겨졌다. 2. 메이로쿠 잡지의 다양한 논의 메이로쿠 잡지에는 문자 개혁, 민선의원 설립, 남녀관계와 여성의 역할, 종교, 문명개화와 인민, 자유, 타자 이해, 사회와 국가 제도, 외국인의 국내여행 등 다양...2025.01.25
-
메이로쿠잡지와 문명개화: 번역과 동아시아의 근대2025.11.161. 메이로쿠잡지와 문명개화 메이지시대 초기 일본의 '문명개화'는 단순한 서양화가 아니라 메이로쿠샤 회원들이 추구한 복합적 개념이었다. 이들은 서양 학문뿐만 아니라 한학을 공부한 지식인들로, 유학의 '도(道)' 개념과 서양의 방법론을 결합하여 인류 보편의 문명에 도달하고자 했다. 메이로쿠잡지는 이러한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문자, 여성, 종교, 자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특히 국어 및 문자개혁을 통해 인민의 개명을 추구했다. 2. 문자개혁과 인민 계몽 메이로쿠샤 회원들은 문자를 문명개화의 핵심 수단으로 인식했다...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