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외래 돌발해충에 대한 정의와 5종의 발생현황 및 방제관리 방법2025.01.251. 미국선녀벌레 미국선녀벌레는 2009년 서울, 경기, 경남 등에서 최초로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과수류, 과채류, 산림 등에 광범위하게 피해를 주고 있다. 약충이 잎을, 성충이 나무줄기의 수액을 빨아먹어 나무 전반에 피해를 주며 성충의 분비물은 외관을 해치고 그을음병을 발병시킨다. 알집 제거가 가장 확실한 방제 방법이지만 알집이 작아 식별이 어렵고 성충의 이동속도가 빨라 대대적인 동시 살포가 필요하다. 2. 사탕무씨스트선충 사탕무씨스트선충은 2011년 태백에서 고랭지 배추에서 최초로 발생이 확인되었다. 뿌리에 기생해 살며 양분을 ...2025.01.25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성별에 따른 먹이 선호도 연구2025.11.151.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성별 먹이 선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수컷과 암컷은 서로 다른 먹이 선호도를 보인다. 수컷은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서리태를 선호하며 평균 23분간 섭취하는 반면, 암컷은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한 땅콩을 선호하여 평균 21.2분간 섭취한다. 이러한 차이는 수컷이 페로몬 분비를 위해 빠른 에너지원이 필요하고, 암컷은 난소발육을 위해 지방과 단백질을 비축해야 하기 때문으로 예측된다. 2. 곤충의 영양성분 선호와 생식 전략 귀뚜라미와 담배거세미나방 연구에서 암컷이 단백질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는 산란을...2025.11.15
-
해충방제학 출석수업과제물2025.01.251. 해바라기방패벌레 해바라기방패벌레 성충과 약충은 기주식물의 뿌리에 가까운 아랫부분부터 흡즙하였고, 잎 뒷면의 주맥을 따라 조직을 흡즙하여 가해부위 표면은 엽록소가 파괴되어 군데군데 황백색으로 변했다. 또한 잎 뒷면에 검은 끈적거리는 배설물을 남겨 잎의 기공을 막고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잎 조직을 파괴하였다. 해바라기방패벌레는 2011년 7월 경주 안계댐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국가간 교역물동량 증가 및 교통수단 발달로 인해 새로운 지역의 생태계로 유입되어 급격한 밀도 증가를 보이고 있다. 화학적 방제, 물리적 방제, 생물학적 방제...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