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건설시공학 5장2025.01.241. 콘크리트 구조물 기초의 필요조건 기초는 상부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가져야 하며, 아무런 문제가 없어야 한다. 기초는 최소 근의 깊이를 확보하여 지반의 습윤 팽창, 건조수축, 동결, 지하수 변동, 파이핑, 인접공사 등의 영향을 받지 말아야 한다. 기초는 변형(침하, 부등침하, 회전)이 허용한계 이내에 있어야 하며, 상부구조와 어울려야 한다. 2. 고압분사 교반주입공법(RJP공법) 지반개량 공법 중 고압분사공법은 심층지반을 개량하는 기술로 일반적인 압력 주입식 공법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RJP 공법은 초고압 분류...2025.01.24
-
건설 기본교육 중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대한 서술2025.01.181. 연약지반의 정의 및 특징 연약지반이란 N치가 0~4 이하의 지층지반을 말한다. 연약지반은 미세립의 액상토립자로 이루어진 포화지반으로, 함수비가 크고 입자의 구성상태가 느슨하여 강도가 약하며 압축되기 쉬운 지반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기초지반으로써 충분한 지지력을 갖지 않은 지반이다. 2. 연약지반의 판정기준 연약지반의 판정기준은 연약층 심도가 2m 이상, 잔류 침하량이 5cm 이상, 표준관입시험치가 점성토 N<4, 사질토 N<8~10 이하, 일축압축강도 시험값이 qc<0.6kg/㎠ 이하, 콘관입지지력이 qc<5kg/㎠ 이하, 자...2025.01.18
-
건설현장 주변 침하 및 구조물 관리실무2025.11.151. 부등침하 부등침하는 구조물의 기초에서 침하가 균일하지 않고 장소에 따라 다른 침하량을 나타내는 현상이다. 주로 지하수위의 변동, 연약한 지반, 압밀침하에 의해 발생하며 진동과 충격으로도 일어날 수 있다. 피사의 사탑이 대표적 사례로, 착공 1년도 채 안되어 침하가 발생했으나 강선설치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납 설치 등으로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기초 침하가 발생하면 구조물에 인장력으로 인한 균열이 생기며, 이를 방치하면 구조물 붕괴로 이어진다. 2. 흙의 성질과 지반 관리 흙은 역학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