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미숙아 premature infant case study(간호진단3개)(간호과정2개)2025.01.021. 미숙아 미숙아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말한다. 또한 출생 체중을 기준으로 저체중 출생아(2,500g 미만), 극소 저체중 출생아(1,500g 미만),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1,000g 미만)로 분류한다. 최근에는 이른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미숙아의 비율은 약 2.6-8.4%이며, 의료 기술 발전으로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어 1,500g 미만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경우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곳도 많아졌다. 1. 미숙아 미숙...2025.01.02
-
NICU 미숙아 RDS, AOP 간호과정 사례연구2025.11.151.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DS)과 신생아무호흡증(AOP) 31주 1일의 미숙아에게서 발생한 RDS와 AOP는 폐의 미성숙으로 인한 폐표면활성물질 부족과 호흡근육의 미발달로 인한 질환이다. 환아는 출생 직후 저산소증(SpO2 74-83%)과 빈호흡, 흉부함몰 등의 호흡곤란 증상을 보였으며, 기관내삽관 후 서팩탄(Curosuf) 투여 및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다. 호흡 상태는 점진적으로 호전되어 산소 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켰고, 최종적으로 비강캐뉼라 1L/min 산소 투여 상태로 안정화되었다. 2. 극소저체중출생아(VLBW) 영양관...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