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개
-
유전학 독후감2024.10.111. 소개 후성 유전학은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도 유전자 발현이 달라질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후성 유전이란 DNA 염기서열의 변화가 아닌 다른 부분의 변화로 인해 유전자 발현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유전자 발현에는 DNA 정보 이외에 다른 요인들이 관여한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유전자 발현이 DNA 염기서열에 의해 결정된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후성 유전학의 등장으로 유전자 발현이 DNA 서열 변화 없이도 조절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쌍둥이라도 ...2024.10.11
-
분자생물2024.10.011. DNA의 구조와 복제 1.1. DNA의 발견과 염기서열 DNA의 발견과 염기서열은 분자생물학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DNA의 발견은 유전자와 생명체의 기본 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이 무엇인지 밝혀낸 중요한 발견이었다. DNA는 1868년 스위스 생화학자 Friedrich Miescher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Miescher는 의료 실험실에서 부정 처리된 백혈구에서 새로운 물질을 분리하였는데, 이 물질은 인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nuclein"이라고 명명되었다. 이후 연구를 통해 nuclein이 세포 핵에 많...2024.10.01
-
화학 결합의 심화적인 탐구2025.05.191. 서론 1.1. 주제 선정 배경 화학 시간에 생명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소결합에 대해 배운 후, 'DNA 염기들은 왜 수소 결합으로 이루어져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DNA 염기의 수소결합'을 주제로 탐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DNA의 결합구조와 수소결합에 대한 연구는 생물정보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DNA가 단백질을 생산하는 데에 쓰이거나 복제될 때의 결합이 어떨지 모색해보고, 이러한 결합의 특징을 제한효소가 어떻게 이용하는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 주제를 탐구함으로써, 화학적인 관...2025.05.19
-
분자생물학2025.05.071. 분자생물학의 역사와 발전 1.1. DNA의 발견과 구조 규명 프리드리히 미셔는 인간의 백혈구에서 DNA를 최초로 분리하였다. 그는 DNA에 인(phosphorus)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nuclein이라 명명하였고, DNA가 핵 내에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멘델은 유전인자의 존재를 발견하였으며, 보베리와 서턴은 염색체 이론을 정립하여 체세포 분열과 생식세포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 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모건은 초파리 실험을 통해 염색체가 특정 형질을 발현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피스는 폐렴균...2025.05.07
-
Genomic DNA2025.05.131. 서론 1.1. DNA의 특성과 구조 DNA는 일반적으로 핵 내부에 존재하며 염기성의 히스톤단백질과 복합체를 구성하고 있다. 동물, 식물세포는 핵 DNA 이외에 미토콘드리아 DNA를 가지고 있으며, 식물세포의 경우 엽록체 DNA도 가지고 있다. DNA는 인산, 당, 염기로 구성된 nucleotide를 기본단위로 가지는 고분자 물질이며, 4가지 염기(A, T, G, C)를 이용하여 유전정보를 암호화하고 있다. DNA는 스스로를 복제하고 유전 정보를 통해 유전자 발현이 일어나게 한다. DNA에는 A형, B형, Z형 3종류의 형태가...2025.05.13
-
충남대 세포생리학실험 - HEK293T cell 계대배양 및 RNA 추출2025.05.151. 서론 1.1. HEK293T cell 소개 HEK293T cell은 아데노바이러스 type 5 DNA의 절편에 노출시켜 형질전환된 HEK 세포이다. HEK293T 세포는 SV40(the simian virus 40) T 항원을 발현하는 HEK293 세포에서 유래하여, SV40 복제 기점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의 복제를 통해 높은 단백질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 다세포생물체의 세포를 연구하는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는 생물체에서 분리된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다. 세포 배양법을 이용함으로써, DNA 복제 기작...2025.05.15
-
NGS 원리와 방법2025.06.091. 서론 NGS(Next-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은 생명과학 분야에서 DNA 및 RNA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방법이다. 이 기술은 기존의 생어 염기서열 분석법을 크게 개선하여 대량의 유전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NGS 기술의 원리와 분석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유전체 연구와 유전성 질환의 진단에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생명체의 유전정보를 해독하고 복잡한 생물학적 현상을 규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NGS 기술의 발전 과정과 주요 분석 방법을 살펴보고, DNA...202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