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근거중심간호 약물교육 효과 PICO2024.10.051. 근거 중심 간호 PICO를 활용한 임상질문 1.1. PICO 기반 임상질문 작성 PICO 기반 임상질문 작성은 임상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를 구체화하고 해결하기 위한 핵심적인 과정이다. 이를 통해 근거 있는 답변을 찾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먼저, P(Population/Patient/Problem)에는 연구의 대상이 되는 환자군이나 문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예를 들어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치매 환자"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I(Intervention)에는 중재 내용을 명시한다. 이는 대상...2024.10.05
-
의료기간 내 감염2024.10.071. 병원감염의 개념 1.1. 병원감염의 정의 병원감염의 정의는 "입원 당시에는 증상이 없고 잠복상태도 아니었던 감염증이 입원 후에 혹은 퇴원 후에 발생하는 경우를 병원감염이라고 한다"이다. 즉,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이전에 감염되지 않았거나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사람이 입원 후 혹은 퇴원 후 30일 이내에 병원환경에서 병원성 미생물에 폭로되어 발생되었거나 환자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던 내인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된 감염을 말한다. 1.2. 내인성 감염과 외인성 감염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이 구강이나 장 등에 보유하고 있는 균...2024.10.07
-
항생제 내성과 수퍼박테리아2024.10.021. 서론 1.1. 슈퍼박테리아와 항생제 내성의 중요성 슈퍼박테리아와 항생제 내성의 중요성은 인류에게 있어 심각한 위험 요인이 되고 있다. 항생제가 발견되어 많은 생명을 구해왔지만,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인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은 이제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슈퍼박테리아란 어떤 항생제를 써도 죽이기 어려운 강한 내성을 가진 세균을 의미한다. 이는 항생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세균 스스로가 내성 기작을 얻어 저항력을 키워나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일반적인 항생제로는 더 이상 치료할 수 없는 수많은 내성균들이 등장...2024.10.02
-
임상질문2024.10.081. 근거중심간호와 PICO 1.1. 중환자실 환자의 클로르헥시딘 목욕 1.1.1. 중환자실 환자의 클로르헥시딘 목욕의 효과 중환자실 환자의 클로르헥시딘 목욕은 병원 획득 감염 발생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클로르헥시딘은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진균 및 일부 바이러스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 활성을 보이며, 세포막 파괴와 세포 내 단백질 침전을 통해 항균 작용을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2% 클로르헥시딘으로 매일 침상목욕을 시행한 결과 다제내성균 획득 발생률, MRSA 발생건수, 혈류감염 발생률 등이...2024.10.08
-
수술실감염의 주요경로2025.05.261. 수술실 감염의 주요 경로 1.1. 감염 미생물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는 반코마이신에 대한 MIC가 4㎍/㎖ 이상인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다. VRE는 1986년 첫 보고된 이래 1990~1992년에는 원내 감염의 4번째 원인균이었으며, 1995년에는 병원감염의 2번째 원인균이 되었다. 1989~1993년 사이에 VRE 감염은 0.3%에서 7.9%로 약 20배 증가했는데, 특히 중환자실에서는 약 34배 증가했다. 1992년에는 급성 백혈병 환자에서 첫 보고되었고, 1996년에는 병...2025.05.26
-
VRE, CRE 감염관리 법윤리 보고서2025.05.281. VRE, CRE 감염관리 법윤리 보고서 1.1. VRE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감염관리 VRE(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증)는 광범위 항생제로 알려진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vancomycin-resistance enterococci)에 의한 감염을 의미한다. 장알균(Enterococcus)은 동그란 알과 같이 생긴 모양의 장 상주균으로 주로 위장관과 비뇨생식기계에 존재하는 균이다. 독성이 비교적 약하여 건강한 정상인에게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지만, 노인이나 면역 저하 환자, 만성 기저질환자 또는 병...2025.05.28
-
MRSA 핵심간호2025.05.151. 서론 1.1. MRSA 감염의 개요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는 세균 감염 질환 중 하나로, 황색포도상구균의 일종이지만 메티실린이라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이 세균은 피부나 호흡기, 요로 등에 감염될 수 있으며, 신체 내부로 침투하면 치명적인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MRSA 감염은 특히 면역력이 약화된 환자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병원 내에서 전파되는 경우가 흔하다. MRSA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격리와 철저한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감염 위험이 높은 환자들은 접촉주의나 공기주의 격리를 통해...2025.05.15
-
주사침자상2025.05.091. 서론 1.1.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 관리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 관리는 병원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MRSA는 황색 포도상구균 중 메티실린에 내성을 가진 균주로,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MRSA에 감염되면 폐렴, 패혈증 등의 중증 감염증이 발생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MRSA는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장기간 입원한 환자, 항생제를 많이 사용한 환자 등에게서 잘 발생한다. MRSA에 감염된 환자의 객담, 창상, 혈액, 소변 등에서 균이...2025.05.09
-
주사침자상2025.05.091. 서론 1.1. 병원감염과 주사침 자상의 관리 중요성 병원감염과 주사침 자상의 관리 중요성이다. 병원감염은 환자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주사침 자상 또한 의료진에게 큰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병원 내 다제내성균의 확산을 차단하고, 의료진의 감염 예방을 위해 병원감염과 주사침 자상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의료진의 손위생 수행, 격리 및 환경관리, 직원과 환자 교육 등을 통해 감염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주사침 자상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대책을 수립하여 실천함으로써 의료진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2025.05.09
-
주사침자상2025.05.091. 서론 1.1. MRSA의 정의와 감염경로 MRSA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중의 하나로서, 그중에서 penicillin계 항생제인 methicillin(또는 oxacillin, naf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돌연변이 균이다. 황색 포도상구균은 병원성 세균이며, 병원 내에 존재하는 황색 포도구균의 상당수가 메티실린 내성 균주이기 때문에 주로 입원한 환자에서 감염증이 발생한다. MRSA는 인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정착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객담, 창상부위, 혈액, 소변 등 모든 검체에서...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