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응급실 사전학습 종합 보고서2024.09.121. 응급 의약품 및 장비 1.1. Emergency Cart 약물 응급의료상황에서 사용되는 응급의약품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응급상황을 신속하게 관리하기 위해 비치되어 있다. Emergency Cart에는 다양한 응급의약품이 구비되어 있는데, 에피네프린(epinephrine), 아데노코(adenosine), 아미오다론(amiodarone), 도파민(dopamine), 도부타민(dobutamine),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 베라파밀(verapamil) 등이 대표적이다. 에피네프린은 교감신경 효...2024.09.12
-
성인 실습일지2024.10.241. 응급실 실습 1.1. 응급실의 구조와 주요 물품 응급실의 구조와 주요 물품은 다음과 같다. 응급실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환자와 부상자를 수용하는 병실로 주로 1층에 위치해 있다. 한국병원은 현재 1층에 응급센터를 새로 짓고 있어 2층에서 응급환자들을 진료하고 있다. 응급실에서 사용하는 주요 물품으로는 Airway, Ambu bag, Chest drainage set, defibrillator, EKG Monitoring, Endotracheal tube, gastrolavage set 등이 있다. Airway는 의식...2024.10.24
-
응급환자사례2024.10.081. 응급환자 분류에 따른 사례 1.1. 한국형환자분류체계 (KTAS) 한국형환자분류체계(KTAS)는 응급의료 환경에서 환자를 안전하게 진료하고, 경증 환자를 선별하여 과밀화를 예방하며, 감염 환자를 미리 선별하여 감염병 전파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병원 전 단계와 병원 단계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로, 응급실 내원 환자의 초기 중증도를 평가하여 신속하고 적절한 진료와 처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KTAS는 환자의 첫인상 중증도, 감염관리 사항, 현재 호소 증상, 의식상태, 활력징후, 통증점...2024.10.08
-
응급의학용어2024.11.181. 응급실 실습 보고서 1.1.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1.1.1. KTAS의 정의 및 목적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2012년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도구인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우리나라 의료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개발된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의 영어 줄임말이다. KTAS는 단순히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진료 순서를 정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병원 전 단계를 아울러서 응급의료체계 전반을 개혁하...2024.11.18
-
ktas분류단계 분류2025.06.031. 응급환자 분류체계 Triage(트리아제) 1.1. Triage의 개념 Triage의 개념은 응급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치료 우선순위를 정하는 과정이다. 응급실뿐만 아니라 전쟁, 재난 현장, 대형 사고에서도 적용되며, 한정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필수적인 시스템이다. Triage는 '분류하다'라는 뜻의 프랑스어 trier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처음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람은 나폴레옹 전쟁 당시의 프랑스군의 군의관이자 의무총감이었던 도미니크 장 라레(Dominique Jean Larrey, 1766~1842)이...2025.06.03
-
간호사 응급상황2025.08.011. 서론 1.1. 간호사의 응급상황 대응 역할 간호사의 응급상황 대응 역할이다. 간호사는 응급의료체계에서 단순한 보조 인력을 넘어, 응급환자의 초기 사정과 분류, 처치 시작까지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환자의 생존율을 결정짓는 중증도 분류(Triage)는 대부분 간호사의 판단에 의해 1차적으로 수행되며, 이 판단이 적절했는가에 따라 치료 시기와 방향이 결정된다. 현실에서는 한 명의 간호사가 짧은 시간 내 수많은 환자의 상태를 빠르게 파악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판단 착오나 분류 오류가 발생할 경우 환자의 예후에 치명적 영향...2025.08.01
-
성인실습일지2025.05.281. 서론 1.1. 실습 목적 및 배경 특수부서인 응급실에 실습을 나가므로 응급실의 구조, 사용하는 물품, 기구, 장비에 대해서 미리 파악하여 실습 시 당황하지 않고 병동 특성에 맞추어 빠른 시간 안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실습의 목적이다. 또한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들이 많을 때는 의료진의 수가 정해져있기 때문에 중증도 분류체계를 이용해 환자들을 분류하여 우선순위를 정해 처치를 수행하는 것을 실습을 통해 익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응급실에 방문하는 환자들 중 저혈당 증상이 나타나 내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2025.05.28
-
응급환자 분류체계 Triage 및 KTAS2025.06.151. 서론 1.1. 응급환자 분류체계 Triage의 정의와 유래 Triage는 '분류하다'라는 뜻의 프랑스어 trier에서 유래된 단어이다. 처음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람은 나폴레옹 전쟁 당시의 프랑스군의 군의관이자 의무총감이었던 도미니크 장 라레(Dominique Jean Larrey, 1766~1842)이다. 전쟁 당시 전쟁에 투입 가능한 자와 불가능한 자를 구분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자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자원 활용을 위해 사용되었다. 1.2. Triage 체계의 필요성 및 목적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들...2025.06.15
-
응급환자 분류체계 Triage 및 KTAS2025.06.291. 응급환자 분류체계(Triage)와 KTAS(한국형 응급환자 분류체계) 1.1. Triage의 개념 Triage의 개념은 응급 상황에서 다수의 환자 중 환자들의 질환의 중증도를 평가하여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구분하고,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 치료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분류체계이다. 이는 환자의 의학적 진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의 중증도와 심각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Triage는 응급실뿐만 아니라 전쟁, 재난 현장, 대형 사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며, 한정된...2025.06.29
-
중앙대 응급실 학습2025.08.201. 중앙대 응급실 학습 1.1. 환자 분류 사정(Triage assessment) 1.1.1. Triage 목적 Triage 목적은 내원하는 모든 환자의 문제를 일차적으로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평가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첫째,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 처한 환자의 상태를 즉각 사정한다. 둘째, 응급실 내원 환자의 흐름을 조정한다. 셋째, 급성 진료 구역의 불필요한 혼잡을 예방한다. 이를 통해 가장 위급한 환자에게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1.1.2. Triage 간호사 내...2025.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