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6개
-
개인정보 관리학 qi2025.04.161. 주제 및 배경 의료관련감염의 약 20%는 다른 환자 혹은 의료인에 의한 외인성 감염이며, 이는 의료 환경을 철저히 관리하고 올바른 감염예방지침을 이행함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다. 특히 손위생은 손에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행위로 적절히 시행할 경우 의료관련 감염 예방의 기초가 된다. 간호사의 경우 환자와 직접 접촉하거나 침습적인 처치를 하는 경우가 많아 간호사의 손위생은 의료관련감염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낮은 손위생 수행률은 개발도상국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보고되어 왔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손위생 수행에 영향을...2025.04.16
-
환자안전보고체계2025.04.301. 환자안전보고체계 1.1. 환자안전사고 보고절차 환자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응급처치를 취하고 해당 부서장에게 신속히 보고해야 한다. 담당 간호사는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단위 간호 관리자에게 구두 보고 후 환자안전사고의 내용과 발생 경위를 서면이나 안전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24시간 이내에 보고한다. 휴일 또는 비정규 근무시간에는 초밤번 또는 당직 간호 관리자에게 보고한다. 단위 간호 관리자는 해당 차상위자에게 보고하고, 차상위자는 부서장, 부서 환자안전 담당자에게 보고한다. 필요 시 병원 환자안전 담당자에게 추가...2025.04.30
-
QPS FMEA 보고서 - 투약오류, 낙상2025.06.191. FMEA 보고서 (투약오류) 1.1. 고위험 프로세스 선정 20??년 상반기 발생한 환자안전사고를 발생가능성과 심각성을 기준으로 Risk Score를 계산한 결과, 투약 오류로 인한 위험도가 12점으로 즉각적인 위험 저감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20??년도 FMEA 주제는 "투약 오류"로 선정하였다. 1.2. 팀 구성 팀장은 진료부의 나팀장이다. 나팀장은 FMEA 팀을 총괄하고 팀원들을 관리한다. 간사는 QPS실의 잠만보이다. 잠만보는 FMEA 회의 일정을 조율하고 회의록 및 보고서를 작성한...2025.06.19
-
국내외 보건정책2025.05.101. 국내 환자안전법 및 시행규칙 1.1. 국내 환자안전법 주요내용 환자안전법은 '환자안전사고'를 '보건의료인이 환자에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환자안전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위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사고'로 정의하고 있다. 2015년 1월 28일에 제정되었으며, 2016년 7월 29일부터 시행되었다. 환자안전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환자안전 정책을 수립ㆍ시행할 의무가 있으며, 보건의료기관의 장과 보건의료인은 환자안전에 관한 책무를 가진다. 환자는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제...2025.05.10
-
환자안전법의 현안, 필요성,중요성,문제점,개선방안(개인의견2025.06.221. 서론 1.1. 환자안전법의 필요성 환자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한 환자안전사고로 인한 추정 사망 건수가 약 38,201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안전이 간과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환자안전 문제는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워 정부와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된다. 따라서 환자안전법의 제정은 환자안전 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1.2. 환자안전법의 중요성 환자안전은 의료 서비스 제공 과...2025.06.22
-
1. 간병인에 대한 안전교육2025.07.181. 간병인 안전교육의 필요성 1.1. 의료 인력 부족과 간병 문제 의료 인력 부족과 간병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많은 의료기관은 간호인력 배치 수준이 낮아 입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입원 환자 간호에 필요한 적정 간호인력이 투입되지 못함에 따라 간호사의 업무 중 일부분이 보호자에게 전가되고, 간호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보호자가 필요한 경우,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등 간호할 사람이 부족함에 따라 입원 환자의 13.8~25.5%가 사설간병인을 고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간병비용은 환자가족에게 의료...202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