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9개
-
고위험모아간호학 아동간호사의 주요역할을2024.09.271.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과 윤리적 딜레마 1.1.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 1.1.1. 아동과 가족의 옹호자 아동과 가족의 옹호자는 아동이 건강과 질병 상태에 대해 알 권리를 가지며, 치료 형태를 결정하거나 상담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보장해주는 역할을 의미한다. 아동은 부모의 권리와는 별개로 독자적인 법적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부모가 아동의 진료를 받지 않게 할 법적 권리는 없다. 따라서 치료나 간호가 필요할 때 부모의 동의뿐만 아니라 아동의 동의도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아동이 나이가 들어 결...2024.09.27
-
미숙아 무호흡 감염위험 간호진단2024.10.101. 미숙아 개요 1.1. 정의 및 분류 미숙아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말한다. 반면 재태 기간과 상관 없이 출생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는 저체중 출생아(LBW, low birth weight), 출생 체중이 1,500g 미만인 경우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그리고 출생 체중이 1,000g 미만은 경우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2024.10.10
-
Clinical Portfolio2024.10.07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the newborn) 1.1. 원인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the newborn)의 원인은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던 폐액의 제거와 흡수가 정상보다 늦어져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는 제왕절개술로 출생한 아기, 경산부의 아기, 분만 시 마취로 인한 과다 진정, 둔위분만, 저출생 체중아, 주산기 가사, 당뇨병 산모의 아기에서 나타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호흡곤란 증후군보다 흔하며 주로 만삭이 가까운 신생아에서 발병되나, 미숙아에...2024.10.07
-
나숨차2024.10.031. 미숙아 호흡관리 1.1. 미숙아 특성 미숙아 특성은 다음과 같다. 미숙아는 재태기간 37주 미만으로 출생한 신생아를 말한다. 미숙아는 재태기간에 따라 더 세분화되며, 32주 미만은 극소저체중출생아, 28주 미만은 초극소저체중출생아로 구분된다. 미숙아는 출생 시 신체발달이 미숙하여 여러 가지 건강문제를 갖고 있다. 특히 호흡기능이 미숙하여 호흡곤란증후군, 무호흡 등의 호흡 관련 합병증이 흔히 나타나며, 이로 인한 저산소증과 산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체온 조절능력이 부족하여 체온 불안정성이 있고, 전해질 및 수분 균형 ...2024.10.03
-
RDS 간호진단2024.11.211. 미숙아 출생과 호흡곤란증후군 1.1. 미숙아 출생의 이해 1.1.1. 정의 및 특징 미숙아는 출생 시 체중이나 재태기간에 상관없이 재태기간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로, 정상아에 비해 생리적으로 미성숙하여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다"" 이다.미숙아는 해부학적, 생리적, 생화학적으로 미성숙하여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미숙아의 피부는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붉은빛과 윤기가 나고, 솜털이 온몸에 나있다. 특히 등, 전박, 이마, 얼굴 옆면에 두드러진다. 그러나 태지는 거의 없다. 유방조직은 유륜과 유두가 거의 보이지...2024.11.21
-
미숙아 감염위험성2024.12.121. 고위험 신생아 간호사정 1.1. 일반사항 환아는 출생 당시 재태 주령 31+1주의 남아로, 체중 1410g의 미숙아이다. 환아는 2023년 3월 17일 06:20에 제왕절개술을 통해 출생하였으며, 출생 예정일은 2023년 5월 18일이었다. 출생 당시 활력징후는 BT 36.1℃, HR 124회/분, RR 38회/분이었다. 출생 후 곧바로 신생아중환자실(NICU)에 입실하였다. 환아의 진단명은 '미숙아, 신생아 무호흡증, 뇌실내출혈'로 확인되었다. 출생 과정을 살펴보면, 환아는 제왕절개술을 통해 출생하였으며, 산모의 조기양막...2024.12.12
-
미숙아 감염 간호진단2024.12.121. 사례 선택 동기 최근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는 가운데 미숙아 출생률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출생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2년 37주 미만의 미숙아의 출생률은 6.26%에 달했으며, 특히 2.5Kg 미만의 저체중출생아의 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미숙아 출생률은 1990년대 초 2.6%에서 2000년 3.8%, 2010년에는 5%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증가 추세에 따른 경향을 토대로 미숙아가 동반하는 신체적, 생리적인 미숙함이 체온조절장애, 폐기능 미숙으로 인한 호흡곤란증후군, 기침반사의 ...2024.12.12
-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2024.10.131. 호흡기계 관련 장애 신생아의 건강 회복을 위한 간호 및 관리 1.1. 호흡기계 관련 장애 문헌고찰 1.1.1. 정의 호흡곤란(respiratory distress)이란 신생아의 호흡기능장애나 일차적으로 폐성숙의 발달지연과 관련된다.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유리질막병(hyaline membrane disease, HMD)이라는 용어로 가장 흔하게 표현되며, 폐표면 계면활성제의 생성과 분비가 부족하게 되면서 폐포가 제대로 펴지지 않아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물...2024.10.13
-
신생아 ventilator weaning2024.10.151. 미숙아(Prematurity) 1.1.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preterm infant) 또는 조산아라고 한다." 1.2. 원인 미숙아가 출산되는 원인은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다음과 같은 위험 요인들이 있다" 다태아인 경우 미숙아로 출생할 확률이 높다. 이전에 미숙아를 분만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미숙아로 출생할 확률이 높다. 임신성 고혈압이나 임신성 당뇨 등의 산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태아의 상태가 좋지 않은 ...2024.10.15
-
나숨차님 시나리오2024.10.181. 미숙아 무호흡 간호 1.1. 미숙아 특성 미숙아는 대표적으로 재태주령(Gestational age) 37주 미만으로 태어난 신생아를 의미한다. 미숙아는 재태주령에 따라 세분화되는데, 조산아(Preterm Infant)는 재태주령 32주 미만, 극소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Infant)는 1.5kg 미만, 초극소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는 1kg 미만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일반 신생아에 비해 신체발달 및 생리기능이 미숙하여 다양...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