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8개
-
뇌시술2025.06.051. 뇌시술 개요 1.1. 경대퇴뇌혈관 조영술(TFCA)의 정의와 목적 뇌혈관 조영술은 대퇴동맥을 통하여 총경동맥과 좌·우 추골동맥 등 4개의 혈관에 각각 선택적으로 카테터(catheter)를 삽입시켜 조영제를 주입하여 뇌혈관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 검사는 뇌혈관의 위치, 동맥류, 혈관의 기형, 혈종, 종양 등을 알아내기 위한 검사로 뇌혈관상태를 파악하는데 가장 정밀하고 정확한 검사이다. 뇌동맥류, 뇌동정맥기형을 비롯한 대개의 혈관질환을 확진하거나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필수적인 검사이다. 기계를 이용하여 혈관 내 조영제를 주입한...2025.06.05
-
혈전증 환자 교육 및 항혈전제 개발 현황2025.06.111. 혈전증 환자 교육 및 항혈전제 개발 현황 1.1. 혈전증 환자 교육 1.1.1. 교육적 요구 대상자 측면 혈전증 환자 교육에서 교육적 요구 대상자는 혈전증 환자와 그의 가족이다. 혈전증 환자는 자신의 질환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며, 올바른 치료 및 관리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또한 가족들도 환자의 질환과 치료과정을 이해하고 협조하여 돌봄에 참여해야 한다. 환자와 가족 모두가 혈전증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 관리 방법 등에 대해 심도 있게 교육받을 필요가 있다. 특히 항혈전제 복용, 금기사항, 부작용 관...2025.06.11
-
항혈전제 종류 및 환자 관리2025.06.161. 서론 1.1. 혈전증의 정의와 원인 혈전은 혈관 내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한다. 혈전증은 혈전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말한다. 혈전 색전증이라고도 하는데, 특히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힌 질환을 일컫는다. 혈전은 급성심근경색증, 뇌졸중, 폐혈전증, 심부정맥혈전증과 같이 생명에 영향을 주는 심각한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혈전증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혈류의 변화이다. 혈관 내에서 혈소판이 형성되면 혈류의 느림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혈소판과 백혈구가 혈관 주변에 축적된다. 둘째, 혈관 내벽의 손상...2025.06.16
-
항혈전제 종류와 개발 현황 및 관리2025.06.161. 항혈전제의 종류와 개발 현황 1.1. 항혈전제의 분류 1.1.1. 항응고제 헤파린 및 저분자량 헤파린은 혈액응고 과정에서 손상된 부위에서 내인성 경로와 외인성 경로로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혈액응고 반응을 억제한다. 헤파린은 주로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데 출혈의 위험으로 근육주사는 피하며, 치료적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활력징후, 혈색소 수치, 혈소판 수치, aPTT를 감시한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출혈, 골다공증, 혈소판 감소증 등이 있는데, 출혈 시 길항제인 protamine sulfate를 투여하면 신속히 지혈이 된...2025.06.16
-
항혈전제 종류와 개발, 환자 교육 및 관리2025.06.161. 항혈전제 종류 1.1. 항응고제 항응고제는 혈액응고 과정에서 손상받은 부위에서 일어나는 내인성 경로와 외인성 경로를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방지한다. 내인성 경로는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으로 콜라겐이 노출되면 혈액응고인자 factor 12가 활성화되어 연쇄적으로 진행되는 반응이다. 칼슘, factor 12, 11, 9, 8, 10, 5, 13이 관여하고 활성화된 factor 10이 prothrombin을 전환시킨다.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가 aPP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이다....2025.06.16
-
소뇌성 운동실조2025.08.171. 서론 1.1. 뇌졸중의 정의 및 중요성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심각한 질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뇌경색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2018년 48만 4,411명에서 2022년 52만 1,011명으로 7.6% 증가했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8%를 보였다. 소뇌는 운동 조절, 균형 유지 등 신체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소뇌에 경색이 발생하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어지러움, 오심, 구토, 보행 실조,...2025.08.17
-
뇌경색 케이스2025.08.2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뇌경색은 그 자체로 높은 사망률과 다양한 정도의 후유장애를 남기는 질환이다. 후유장애는 경한 장애부터 일상생활을 보호자의 도움 없이 유지할 수 없는 정도의 장애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치료 및 재활에 드는 경제적인 문제 뿐 아니라 본인 및 가족까지 모두 평생을 고통 받게 된다. 그럼에도 생명을 유지하는 치료는 시행되고는 있으나 후유장애에 대한 특별한 치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1.2. 연구 목적 뇌경색의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뇌경색은 그 자체로 높은 사망률과 다양한 정도의...2025.08.20
-
뇌경색 간호진단2025.08.201. 뇌경색 개요 1.1. 뇌경색의 정의 뇌경색이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를 말한다. 뇌경색은 뇌 혈전증과 뇌 색전증이 있다. 뇌 혈전증은 뇌혈관의 혈액 응고가 원인이며, 뇌 색전증은 심장 등에서 떨어져 온 혈괴가 뇌혈관을 갑자기 폐쇄시켜 혈류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러한 뇌경색은 동맥경화증, 동맥염 등으로 혈관벽에 찌꺼기가 생겨 혈류 장애를 가져오거나, 심장 등에서 혈괴가 떨어져서 뇌혈관을 갑자기 폐쇄시켜 혈류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에 발생한다...2025.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