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8개
-
간경변증 피로2024.09.121. 간경변증의 개요 1.1. 간경변증의 정의와 특징 간경변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오랜 기간 지속된 간 손상으로 정상 간 조직이 소결절(nodule)과 섬유성 조직으로 대체되어 간 기능이 저하되는 만성적인 간질환이다. 간경변증은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자가면역성 간질환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간세포가 광범위하게 손상되면서 간이 작아지고 견고해지는 특징이 있다.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간문맥압이 상승하여 식도정맥류, 복수, 간성뇌병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경변증 ...2024.09.12
-
혈액·체액 정상범위 및 검사방법2024.09.131. 혈액검사의 임상적 의미 1.1. Hematology 검사 1.1.1. 검사항목과 정상범위, 임상적 의의 WBC(백혈구)는 정상범위가 4.0-10.0 E9/L 이다.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감염증, 출혈, 종양, 조직괴사 등의 병적 상태를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우 재생불량성 빈혈, 무과립구증 등을 시사한다. RBC(적혈구)는 정상범위가 4.2-5.7 E9/L 이다. 적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설사, 탈수, 다혈구혈증, 급성 중독, 폐섬유증 등을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우 빈혈, 백혈병, 출혈 등을 시사한다. Hb(...2024.09.13
-
담낭염 간호2024.09.111. 서론 1.1. 담낭의 정의 담낭이란 간의 왼쪽엽과 오른쪽엽 사이의 오목에 붙어있는 작은 주머니이다. 담낭은 흔히 쓸개라고도 부르며 간에서 분비된 쓸개즙을 농축하고 저장하는 일을 한다. 일반적으로 담낭 질환은 여성, 과체중인 사람, 위장병이 있는 사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사람들이 담낭 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담낭 질환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는 담석이며, 외에도 담낭암과 담낭염이 있다." 1.2. 담낭염의 정의 담낭염은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완전 혹은 불완전한 협착이...2024.09.11
-
알콜성간경화사례2024.09.211. 간경화증 개요 1.1. 정의 간경화증은 간 전체에 상흔조직이 발생한 것으로, 만성적인 간 염증으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괴사가 원인이다"" 간경화증은 만성간염, 알코올중독증, 지속적인 심각한 우심부전, 만성담관폐쇄 등이 원인이며, 이 중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B형간염이다"". 1.2. 주요 원인 1.2.1. 만성바이러스간염 만성바이러스간염은 간경화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B형간염과 C형간염이 만성화되면 단계적으로 간경화로 발전할 수 있다. B형간염은 상처 난 피부나 점막을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2024.09.21
-
패혈성쇼크 및 폐렴 중환자실 케이스2024.10.141. 전반적 사례 개요 1.1. 환자 기본정보 환자 기본정보는 다음과 같다. 최ㅇㅇ 환자는 78세 남성으로, 2019년 9월 29일 영덕대게를 먹고 발열,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 응급실을 경유하여 9월 30일 입원하였다. 입원 당시 혈압은 110/70mmHg, 맥박은 112회/분, 호흡수는 24회/분, 체온은 38.0도의 활력징후를 보였으며, 혼미한 의식 상태였다. 환자는 기도 삽관, 기계 환기 요법, 우측 중심정맥 도관, 비위관, 요도 도뇨관 등 다양한 처치를 받고 있었다. 과거력으로는 2001년과 2005년에 뇌졸중 진단 ...2024.10.14
-
낮은 헤모글로빈 수치2024.11.131. 암환자의 혈액검사 1.1. 기본 혈액검사 항목과 정상수치 1.1.1. Hb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Hb)은 적혈구 중의 철을 함유하는 단백질로, 산소의 운반을 담당한다. 헤모글로빈량이 감소되면 빈혈이 발생한다. 헤모글로빈의 정상범위는 남성의 경우 14~18g/dL, 여성의 경우 12~16g/dL이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정상범위 미만이라면 빈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헤모글로빈은 적혈구의 주요 성분으로, 혈액 중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헤모글로빈의 구조는 철을 함유한 단백질인 헴과 단백질인 글로빈이 결...2024.11.13
-
신생아황달케이스A2024.11.1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신생아 황달은 생후 2~3일 정도에 정상적으로 나타나지만 일주일 이내로 자연적으로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것이 심해지면 신생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신생아 황달은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서 볼 수 있을 정도로 흔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동양인에게서 많이 관찰되고 있다. 이렇게 병리적인 황달일 경우 신생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자연황달과 병리적 황달을 명확히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통계청에서 조사한 출생아의 병의원에서의 치료경험률 통계에 따르면 신생아 ...2024.11.13
-
담낭염 간호계획2024.10.051. 환자 개요 1.1. 진단명 본 환자의 진단명은 r/o Cholangitis(담관염)이다. 담관염은 담즙이 흐르는 모든 통로(간 내외 담관, 담낭관, 총담관)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한다. 주된 원인으로는 역역성감염, 담석, 종양(담관암, 팽대부암, 췌장암), 기형으로 인한 담즙 흐름 정체 등이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담도 산통(biliary coli)이라 불리는 우상복부통증, 오심 구토, 소화불량, 오한과 고열, 담관 종창, 충혈, 황달 등이 있다. 본 환자는 3일 전부터 발생한 우상복부통증으로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으며, CT...2024.10.05
-
임상화학2024.10.311. 혈액검사 1.1. 응고검사 1.1.1. PT(SEC) PT(SEC)는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을 측정하는 검사로, 혈액 응고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초, sec)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외인성 혈액 응고 경로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정상 PT(SEC) 범위는 9.2~12.5초이다. PT(SEC)가 증가한다는 것은 응고 시간이 지연된다는 의미로, 다한, 폐감염증, 화상, 요붕증, 삼투압성 이뇨, 삼투압성 설사, 뇌하수체 질환 등에서 볼 수 있다. 반면 체액의 상실, 간경변, 신부전, 악성종양...2024.10.31
-
패혈성 쇼크 간호과정2024.10.181. 서론 대한중환자의학회에 따르면 선진국의 경우 패혈증에 의한 사망자 수는 지난 수십년간 연간 8~13%의 놀라운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는 대장암과 유방암으로 사망한 숫자보다 더 많은 수치이다. 또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매년 약 35,000명에서 4만명의 패혈증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패혈증 환자가 증가하는 원인은 인구의 고령화, 고위험 처치와 치료의 사용 증가, 약물 내성과 다양한 맹독성 감염증의 증가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이 질병은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고 패혈증의 병태생리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중환자 전...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