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7개
-
안지오텐신2025.03.071.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제의 작용기전과 임상적 적용 1.1.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은 신장 내부에서 나트륨 이온의 흡수율과 수분 재흡수 과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과정은 삼투압을 통한 세포외액의 부피를 조절하여 혈압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혈압 조절에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알도스테론이다. 알도스테론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집합관과 네프론의 원위세뇨관에서 나트륨 이온을 재흡수하고 칼륨이온을 방출시켜...2025.03.07
-
베타 차단제2025.04.021. 서론 1.1. 베타 차단제의 정의 및 작용기전 베타 차단제는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교감신경계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이를 통해 심박수 및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켜 심장의 산소 요구량을 줄이고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타 차단제는 혈관을 확장시켜 말초 혈관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부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작용기전을 통해 베타 차단제는 협심증, 심근경색증, 부정맥, 고혈압, 심부전 등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된다.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는 베타1과 베타2가 있는데, 베타 차단제는 이들 수...2025.04.02
-
만성신부전2024.09.271. 신장의 정의와 구조 1.1. 신장의 정의 신장은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로, 좌우 두 개가 존재한다. 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소변으로 배출시키고, 혈액 속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거나 혈압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신동맥을 통해 신장 속으로 들어온 혈액은 사구체라는 가는 모세혈관 다발을 거치면서 물과 전해질, 그리고 각종 노폐물을 보만주머니 속으로 분비해 내고, 이렇게 만들어진 소변은 세뇨관을 지나 신우로 흘러들어가며, 신우에 모인 소변은 요관을 거쳐 방광에 저장되었다가 요도를 따라...2024.09.27
-
고혈압 케이스스터디2024.09.291. 고혈압 개요 1.1.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이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지속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정상 혈압은 수축기 혈압 130mmHg 이하, 이완기 혈압 90mmHg 이하이지만 고혈압 기준은 이보다 높은 수치이다. 고혈압은 심장에서 내보내는 혈액의 양과 혈관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할 때 동맥이 받는 가장 높은 혈압을 말하며, 이완기 혈압은 심장이 다음 수축을 위해 휴식기에 있을 때의 혈압을...2024.09.29
-
고혈압 케이스2024.10.221. 고혈압의 정의와 특성 1.1.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말한다."고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서 뇌졸중, 심근경색증, 울혈성 심부전, 콩팥병, 말초혈관 질환과 같은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하므로 조기진단과 효과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1.2. 고혈압의 병태생리 혈압은 혈액이 혈관 벽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힘으로, 조직 관류를 유지하는 데 적절해야 한다"" 이는 활동과 휴식 동안 혈압조절 기전이 작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혈압조...2024.10.22
-
고혈압 합병증 간호진단2024.09.261. 고혈압 개요 1.1.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은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말하며,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보낼 때 가장 높은 때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 심장이 늘어나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가장 낮은 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30%가 이러한 혈압이 높아진 증상인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2. 고혈압의 병태생리 고혈압의 병태생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혈압은 심장 펌프의 기능과 혈관 저항의 상호작...2024.09.26
-
모성간호 자간증2024.09.301. 서론 ㅁㅁ대학병원 ㅁㅁ병동에서 실습을 하게 되면서 성인이나 다른 과목에서 볼 수 없는 이색적인 간호의 모습들과 풍경들을 마주 할 수 있었다. 며칠간의 관찰을 통해 병동에서 행해지는 간호의 시스템과 수행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었고, 산모와 아기의 관계를 들여다보려 노력하였다. 케이스 대상을 선정함에 있어서 환자와의 관계와 질환의 2가지를 중점을 두었다. 먼저 산모와의 면담과 분만과정에 최대한 협조를 받을 수 있고 또 내가 도움이 될 수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하고 싶었다. 또한 관심이 있는 산과적 질환을 공부하면서 발표를 준비하고...2024.09.30
-
비뇨생식기계 구조와 병태생리 정리2024.10.101. 신장의 구조와 기능 1.1. 신장의 구조 신장(Kidney)은 길이 11cm, 너비 6cm, 두께 2.5cm로 콩 모양을 하고 있으며 좌신이 우신보다 약간 높게 위치한다. 신장은 저 11, 12 흉추에서 제 3 요추 사이에 척추를 따라 좌우 하나씩 존재하는 후복막성 장기이다. 신장의 전체 혈액량의 약 25%가 통하며, 바깥쪽의 피질과 안쪽의 수질로 구분된다. 신장의 피질은 각각 120만개의 신원(nephron)이라는 신장의 기능적, 구조적 최소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신원은 신소체와 세뇨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소체는...2024.10.10
-
모성간호학 분만실 케이스2024.09.151. 전치태반(Placenta previa) 1.1. 전치태반의 정의 전치태반은 자궁경부의 내구가 태반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여있는 상태를 말한다. 전치태반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전전치태반(total placenta previa), 부분 전치태반(partial placenta previa), 변연 전치태반(marginal placenta previa), 그리고 하위태반(low-lying placenta)이 그것이다. 전전치태반의 경우 자궁경부의 내구가 태반에 의해 완전히 덮여있으며, 부분 전치태반은 자궁...2024.09.15
-
활력징후 정의2024.09.241. 활력징후 개요 1.1. 활력징후의 정의 활력징후란 대상자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사정의 기본 요소로서 인간의 체온, 맥박, 호흡 및 혈압을 말한다. 활력징후는 건강에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객관적인 자료로, 인체의 생명 유지에 중요한 혈액순환, 호흡, 신경, 내분비 기능의 효과를 반영하는 건강상태의 지표이다. 활력징후 변화는 의학 또는 간호의 중재를 필요로 하는 신호이며, 활력징후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 관찰, 문제 규명 그리고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평가를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1.2. 활력징후 측정의 중요성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