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5개
-
심장내과 약물2025.06.191. 심장내과 약물 1.1. 칼슘 채널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는 혈관과 심장근육이 수축하는 데 필요한 칼슘의 이동을 막아주어 혈관을 확장시키고 심장박동 속도와 심장박동력을 줄이는 약물이다. 주요 약물로는 딜티아젬(diltiazem), 베라파밀(verapamil), 암로디핀(amlodipine) 등이 있다. 처방에 따라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며, 의사나 약사와 상의 없이 임의로 용량을 바꾸거나 중단해서는 안 된다.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목표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시적으로 혈압이 떨어질 수 있어 갑자기 움직이면...2025.06.19
-
항혈전제 종류 및 환자 관리2025.06.161. 서론 1.1. 혈전증의 정의와 원인 혈전은 혈관 내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한다. 혈전증은 혈전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말한다. 혈전 색전증이라고도 하는데, 특히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힌 질환을 일컫는다. 혈전은 급성심근경색증, 뇌졸중, 폐혈전증, 심부정맥혈전증과 같이 생명에 영향을 주는 심각한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혈전증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혈류의 변화이다. 혈관 내에서 혈소판이 형성되면 혈류의 느림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혈소판과 백혈구가 혈관 주변에 축적된다. 둘째, 혈관 내벽의 손상...2025.06.16
-
항혈전제 종류와 개발 현황 및 관리2025.06.161. 항혈전제의 종류와 개발 현황 1.1. 항혈전제의 분류 1.1.1. 항응고제 헤파린 및 저분자량 헤파린은 혈액응고 과정에서 손상된 부위에서 내인성 경로와 외인성 경로로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혈액응고 반응을 억제한다. 헤파린은 주로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데 출혈의 위험으로 근육주사는 피하며, 치료적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활력징후, 혈색소 수치, 혈소판 수치, aPTT를 감시한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출혈, 골다공증, 혈소판 감소증 등이 있는데, 출혈 시 길항제인 protamine sulfate를 투여하면 신속히 지혈이 된...2025.06.16
-
항혈전제 종류와 개발, 환자 교육 및 관리2025.06.161. 항혈전제 종류 1.1. 항응고제 항응고제는 혈액응고 과정에서 손상받은 부위에서 일어나는 내인성 경로와 외인성 경로를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방지한다. 내인성 경로는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으로 콜라겐이 노출되면 혈액응고인자 factor 12가 활성화되어 연쇄적으로 진행되는 반응이다. 칼슘, factor 12, 11, 9, 8, 10, 5, 13이 관여하고 활성화된 factor 10이 prothrombin을 전환시킨다.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가 aPP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이다....2025.06.16
-
뇌경색 간호진단2025.08.201. 뇌경색 개요 1.1. 뇌경색의 정의 뇌경색이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를 말한다. 뇌경색은 뇌 혈전증과 뇌 색전증이 있다. 뇌 혈전증은 뇌혈관의 혈액 응고가 원인이며, 뇌 색전증은 심장 등에서 떨어져 온 혈괴가 뇌혈관을 갑자기 폐쇄시켜 혈류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러한 뇌경색은 동맥경화증, 동맥염 등으로 혈관벽에 찌꺼기가 생겨 혈류 장애를 가져오거나, 심장 등에서 혈괴가 떨어져서 뇌혈관을 갑자기 폐쇄시켜 혈류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에 발생한다...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