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4개
-
급성 뇌경색 간호과정2024.09.201. 서론 2022년 10월 28일 오후 1시 40분경 도보로 응급실을 방문한 조OO(M/77세)의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OO 님은 아침에 일어난 직후 왼쪽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을 보여 응급실에 내원하였고, 급성 뇌경색 진단을 받았다. 조OO 님은 현재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앓고 있으며, 2002년 뇌졸중으로 입원한 이력이 있어 뇌경색의 위험이 높은 상태이다. 이번 입원을 계기로 급성 뇌경색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령, 기저질환 등이 동반되어 있어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크므로 ...2024.09.20
-
불안정형 협심증 간호진단2024.09.251. 협심증 1.1. 개요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 상태가 오며 이 때 심한 흉통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심근허혈과 협심통은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와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이 흉통 유발의 원인이다. 즉, 관상동맥의 협착과 폐색, 저혈압, 빈혈 및 저산소혈증 등에 의한 심근의 산소 요구에 산소 공급이 부족할 때 협심증이 발생한다. 또한 운동, 흥분, 과음, 과식 등의 생리적 요인과 갑상샘 기능항진증과 같은 병리적 요인에 의해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이 부담을 많이 느끼게 ...2024.09.25
-
뇌경색 전해질불균형2024.10.081. 간호사례 요약 상기 환자 77세 남환으로 17일 17:30분 경 동네 마트 다녀온 후부터 갑자기 양발에 감각 무뎌져 인내하다 18일 07:00경에 자가 보행까지 불가능해질 정도로 상태 악화되어 118구급차타고 보호자 없이 본원 응급실 내원하였다. 도착 당시 V/S: BP 242/122mmHg, HR 93회/분, PR 18회/분, BT 36.2℃로 고혈압 보였고 Glucose(식전) 측정 시 242mg/dL 나왔으며 몇 주간 체중변화도 없었고 과거에 앓은 질환도 없었으며 수술력도 없다고 하셨다. 면담 시 환자 전 날 새벽에 구토...2024.10.08
-
약리학 중간고사2024.10.061. 심혈관계 기초 및 질환 1.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1.1.1. 심장의 구조 심장은 근육주머니로 심장막(pericardium)에 싸여있으며,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에 있는 심장 중 왼쪽 심장이 크다. 심장의 방은 심방(atrium)과 심실(ventricle)로 구분되며, 심방은 혈액을 모아두는 부분이고 심실은 혈액을 밀어내는 부분이다. 특히 심실벽이 더 두꺼운데, 그중에서도 좌심실벽이 가장 두껍다. 심장벽은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안쪽 층은 심장속막(endocardium)으로 단층편평상피조직으로 이루...2024.10.06
-
항혈소판제2024.11.251. 항혈전제 1.1. 항혈소판제 1.1.1. 기전 및 약제 종류 항혈소판제의 기전 및 약제 종류는 다음과 같다. 항혈소판제는 혈액 중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의 생성을 막는 약물이다. 혈소판 응집은 혈전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항혈소판제는 협심증, 심근경색, 뇌경색 등의 재발 방지나 관상동맥 시술 후 혈전 생성 억제 등을 위해 사용된다. 항혈소판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COX 억제제, PDE 억제제, ADP 수용체 길항제, 당단백질 IIb/IIIa 길항제,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로 분류된다. COX 억제제는...2024.11.25
-
관상동맥 폐쇄질환 출혈2024.11.281. 관상동맥우회술 1.1. 정의 및 목적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은 심장에 위치해 있으면서 심장 근육에 산소공급을 해주는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협심증 및 심근경색이 발생한 경우에 심장에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심장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겨 심장마비의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이다. 이를 위해 좁아지거나 막힌 관상동맥을 환자의 몸에서 다른 혈관(주로 내흉동맥, 다리정맥) 일부를 떼어내어 좁아진 관상동맥의 우회로를 만들어 ...2024.11.28
-
뇌졸중 간호진단2024.10.161. 뇌졸중의 개요 1.1. 병태생리 뇌는 체중의 약 2%밖에 안 되지만 분당 심박출량의 약 20%를 받으며 신체의 산소 소모량의 20%를 사용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뇌혈류는 신경세포의 기능에 필요한 산소와 포도당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하게 자동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혈압과 이산화탄소량, 산소량 및 수소이온 농도 등의 변화에 따라 반응한다. 뇌혈류가 원활하지 않으면 신경학적 대사가 30초 이내에 변화하고, 2분 이내에 중단되며, 세포는 5분 이내에 파괴되기 시작한다. 뇌졸중은 뇌의 갑작스러운 혈류 감소로 인해 중추 신경계의 기능...2024.10.16
-
심근경색 시뮬레이션2024.11.041.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간호 1.1. 환자 사정 1.1.1. 흉통의 사정 흉통의 사정은 심근경색 환자의 진단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흉통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병인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흉통의 시작 시간을 확인한다. 심근경색의 경우 통증이 갑자기 발생하며, 지속 시간은 보통 30분 이상이다. 이전에도 유사한 흉통이 있었는지, 그리고 그때마다 어느 정도 지속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대부분 처음 경험하는 통증이다. 통증의 빈도와 지속 양상도 살펴봐야 한다. 심근경색 환자는 대체로 지속적인 통...2024.11.04
-
약리학 약물2024.10.211. 심혈관계 및 요로계 1.1. 협심증 치료 약물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협착 또는 폐쇄로 인해 심근으로 향하는 혈액량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심혈관 질환이다. 협심증 치료에는 증상 완화와 장기적인 예후 개선을 위해 다양한 약물치료가 사용된다. 협심증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로는 유기질산염, β 아드레날린 차단제, 칼슘 경로 차단제 등이 있다. ""유기질산염은 동맥과 정맥의 평활근을 확장시켜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감소시키고, 관상동맥을 확장시켜 혈액량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내성이 잘 생기므로 급성 증상 완화에 주로 사용된다."" 또...2024.10.21
-
심장내과 약물2025.07.071. 심장내과 약물 1.1. 칼슘 채널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는 심장근육과 혈관이 수축하는데 필요한 칼슘의 이동을 막아주어 혈관을 확장시키고 심장박동 속도와 박동력을 줄이는 약물이다. 대표적인 약물로 딜티아젬, 베라파밀, 암로디핀 등이 있다. 이들 약물은 처방에 따라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며 의사나 약사와 상의 없이 용량을 임의로 바꾸거나 중단해서는 안 된다.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목표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갑자기 움직일 경우 저혈압으로 인한 어지러움, 현기증, 실신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술...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