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2개
-
세계관을 분별하라 독후감 (기독교2025.03.311. 서론 세계관은 실재(reality)에 대한 관점으로, 개인이나 집단이 세상을 바라보는 틀이다. 세계관은 경험들이 이성의 합리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편견이 생겨나게 된다. 특히 초자연적인 사실들을 포함하는 하나님의 계시는 인간의 제한된 이성으로는 수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하나님의 세계관으로 자신의 세계관을 변화시키는 것이 전도와 선교의 핵심이며, 이는 지속적인 성화의 과정이기도 하다. 오늘날 모든 세계관은 물질주의라는 바알 신앙과 혼합되어 있어, 우리도 무의식중에 비성경적 세계관에 물들어 있을 수 있다. 오직 ...2025.03.31
-
중보2025.03.211. 중보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서서 두 사람을 화해시키는 자를 중보자라고 한다. 인류가 죄로 인해 영원한 죽음에 처해 있을 때,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영원한 구원 중보자가 되셨다. 삼위일체 하나님께서는 구속사역을 함께 하시며, 아버지 하나님은 성령 하나님 안에서 성자 아들을 통해 일하신다. 그리스도는 창조 전부터 하나님의 아들이자 지혜로서 만물을 창조하셨고, 선지자들을 통해 메시아로 예언되었다. 그리고 성육신하여 이 땅에 오셔서 중보자로서의 사역을 완성하셨다. 그리스도는 선제하신 하나님이시며, 구약 시대부터 임마누...2025.03.21
-
기독교강요요약2025.02.081. 기독교강요 요약 1.1. 헌사 칼빈은 헌사에서 이 작품을 쓴 유일한 목적은 종교에 대해서 열심을 내는 사람들이 참 경건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근본적인 사항들을 전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또 저술 의도를 간단하게 말하면 소박한 가르침의 형식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칼빈은 왕에게 직설적이면서도 단호하게 말한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섬기지 않는 왕은 왕국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강도질을 행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하나님의 거룩한 말씀으로 다스려지지 않는 자신의 왕국이 영원히 번영할 것을 기대하는 자는 어리석다...2025.02.08
-
시편91편2024.11.021. 시편 강해 설교 1.1. 환난 속에서도 피난처이신 하나님을 의지하고 기도하여야 합니다 1.1.1.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가 되시고 요새가 되십니다 성도들이 어떠한 위기 가운데 있더라도 하나님께서는 성도의 피난처가 되시며 우리 성도들은 그 안에서 평안을 누리게 된다"". 성도들은 세상에서 살아가며 교회에서 주신 사명을 감당하게 됩니다. 그러나 사명을 감당할 때에는 예상된 고난을 당하는가 하면 한편으로는 전혀 예견하지 못한 역경을 당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성도들의 진정한 피난처는 오직 하나님 뿐이십니다""...2024.11.02
-
시편91편의 해석2024.11.021. 시편 19편 5-9절 주석 1.1. 서론 시편 19편은, 신(神) 중심적 성격을 띤 시편 시문학의 "새로운 유형의 신(神) 계시(啓示)"를 노래하는 시(詩)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랜 세월 동안 안고 온 비평학적 문제는, 서로 다른 시의 징후들을 가지고 있는 1-6[2-7]절과 7-14[8-15]절을, 다른 두 편의 시(시 19A, 시 19B)로 볼 것인지, 하나로 잘 융합된 시로 볼 것인지를 해결하는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 케인(Cheyne)과 엘리히(Ehrlich)는 이 시 19편을 "하나의 문학 단위로"(a lit...2024.11.02
-
고백록감상문2024.08.281. 소개 어거스틴의 고백록은 4세기 서방 교회의 대표적인 신학자이자 철학자인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자신의 신앙 여정을 기록한 저서이다. 어거스틴은 이 책을 약 39세에 쓰기 시작하여 40대 중반에 완성하였다. 고백록은 어거스틴이 기독교로 전향하기 이전의 방탕한 삶과 신앙적 방황, 그리고 신에 대한 깨달음과 회심의 과정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다. 이 책의 핵심은 어거스틴이 자신의 과거를 솔직하게 고백하면서 동시에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리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유년시절부터 청년기까지의 삶을 낱낱이 고백하며, 그 과정에서 겪었던 ...2024.08.28
-
대선지서 사역자들의 사역2024.12.181. 구약성경의 개관 1.1. 창세기 1.1.1. 하나님의 창조사역과 인간의 타락 하나님께서는 천지창조의 주권자로서 말씀으로 천지만물을 창조하셨다. 세상의 시작은 하나님의 창조사역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하나님은 태초에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고, 빛과 어둠, 낮과 밤, 하늘과 물, 육지와 식물 등을 6일 동안 차례로 창조하셨다. 마지막으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형상대로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다. 하나님께서는 에덴동산에 아담과 하와를 두시고 그들에게 자유롭게 동산을 다스리고 열매를 먹을 수 있게 하셨다. 다만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2024.12.18
-
그리스도 중심 예배사역2024.08.291. 예배의 정의와 목적 1.1. 예배의 사전적 의미 예배의 사전적 의미는 "하나님의 현존을 인지한 인간의 응답을 표현하는 마음가짐과 행위"를 말한다. 즉, 예배란 우리의 전 존재를 하나님께 굴복시키는 일이다. 예배는 하나님의 거룩함으로 우리의 양심을 깨우며, 하나님의 진리로 우리의 마음을 살찌우고, 하나님의 아름다움으로 우리의 상상을 정화시킨다. 또한 하나님의 사랑으로 우리의 심령을 활짝 열며, 하나님의 목적에 우리의 의지를 내려놓는 것이다." 1.2. 예배의 신학적 정의 예배의 신학적 정의는 하나님의 현존을 인지한 인간의 응답...2024.08.29
-
순종요약2024.09.061. 하나님의 주권과 순종 1.1. 하나님 앞에서의 순종 하나님 앞에서의 순종이란 본래 우리에게 주어진 본분이자 의무이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창조하시고 지으신 만큼, 인간은 하나님의 절대적인 섭리와 주권 아래 놓여 있다. 따라서 우리는 하나님의 뜻과 명령에 온전히 순종해야 할 책임과 의무를 지니고 있다. 하나님에 대한 순종은 그분의 절대적인 주권을 인정하고 복종하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하나님을 전능하신 분이자 지고의 존재로 인정하고 그분께 절대적으로 복종할 때, 비로소 우리의 삶에 하나님의 섭리와 은혜가 드러나게 된다...2024.09.06
-
하나님을 아는 지식 요약 및 서평2025.04.051. 서론 1.1. 하나님을 아는 지식의 중요성 하나님을 아는 지식의 중요성이다. 인간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결여되면 눈가리개를 하고 아무런 방향 감각 없이, 주위에 무엇이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 채로 살아가게 된다. 하나님은 영이시며, 무한하시고 영원하시고, 지혜와 능력과 거룩함과 정의와 선하심과 진리가 변치 않으시는 존재이기 때문에, 우리의 관심사는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교리들만이 아니라 그 속성을 지닌 살아계신 하나님을 더 잘 아는 것이 되어야 한다. 하나님을 아는 사람들은 하나님을 위한 엄청난 열정과 담대함을 가지고 있으며...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