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개
-
싸강 족보2024.10.161. 벼의 기원과 한국으로의 전파 1.1. 벼의 기원 벼의 기원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장 유력한 벼의 기원설은 인도 아삼 지역을 중심으로 미얀마, 라오스, 중국 윈난성 일대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 벼농사가 약 1만 년~6500년 전부터 시작되었고, 이후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재배종의 근연종인 야생벼 중에서 아시아형이 널리 재배되었고, 이 아시아형 야생벼로부터 1년생의 재배벼가 생겨났다. 아삼·윈난 지역에서 발생한 이들 아시아형 야생벼가 양자강을 따라 중국 화중 지역...2024.10.16
-
음식과 세계문화 족보2024.10.081. 근대화와 식생활의 변화 1.1. 일제강점기 식품 관련법 정비와 사회변화 1.1.1. 식품위생법 정비와 육류 소비 관행 선진국에서는 19세기 이후 근대산업의 발전과 함께 가공 식재료나 식품첨가물, 포장기술이 발달하게 되자 식품으로 인한 위생상 위해방지와 국민건강 향상 및 증진을 목적으로 한 식품위생법의 법제화가 추진되었다. 우리나라보다 한발 앞서 서구의 근대문물과 제도를 받아들이면서 보다 진보된 근대국가를 꿈꾸었던 일본의 경우, 영국·미국·독일의 선진 위생제도를 바탕으로 식품위생 관련 규정을 마련하였는데, 이것이 한일병합을 ...2024.10.08
-
일제시기 식민지배 정책2024.12.071. 일본의 한반도 식민정책 1.1. 일본의 한반도 식민정책의 핵심 내용 일본의 한반도 식민정책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메이지 시대 일본은 부국강병 정책 하에 한국을 침략했다. 일본은 한국의 토지와 자원, 인구 등을 철저히 조사하며 통치의 기반을 다졌는데, 이를 '토지조사사업'이라 한다.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많은 땅을 확보한 일본은 '동양척식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산미증식계획'을 시행하여 한국의 토지와 자원을 약탈했다. 또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경제성장과 식량 부족으로 인해 한국에서 쌀을 대량으로 반출하기 ...2024.12.07
-
구한말 및 일제시대에 추진한 토지조사사업의 현황과 문제점2025.04.021. 서론 우리나라 역사에서 구한말 및 일제시대는 근대화와 자본주의의 태동기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동안 토지조사사업은 중요한 사건이었는데, 이를 둘러싸고 식민지근대화론과 반일종족주의 간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토지조사사업은 근대적 토지소유권 제도 확립과 함께 식민 통치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조선의 농업 및 경제, 자본과 공업화 등 다양한 영향이 있었다. 또한 일제 강점기의 근대화 과정은 해방 이후 한국 경제성장에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구한말 및 일제시대 토지조사사업의 현황과...2025.04.02
-
이광수 무정2025.08.211. 이광수 무정 - 작품 연구 1.1. 작품 배경 1.1.1. 역사적 배경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우리나라는 식민지 자본주의 사회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일제강점 이후, 일본은 식민지 지배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농업분야에서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적 토지소유관계 확립이란 명목으로 봉건적 친일 지주의 사적 토지소유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산업분야에서도 일제는 조선을 경제적으로 지배해가기 시작하였는데, 강점 직후 공표된 회사령으로 민족자본의 설립을 억제하고 일본인 자본의 발전을 통해 식민지 착취 관계를 더욱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