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임신성 당뇨 분만 간호진단2024.11.111. 임신성 당뇨병과 유도분만 1.1. 유도분만 1.1.1. 정의 유도분만(labor induction)은 자발적 분만 진통에 관련된 자궁 수축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프로스타글란딘, 옥시토신 등)을 부분적으로(자궁경부 숙화를 위한 질정 삽입) 또는 전신적으로(옥시토신 정맥 주입)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분만 진통을 유발하는 시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발적인 분만 진통은 만삭 분만의 경우 예측 불가능하나 임신 37주 이상이 되면 언제라도 발생 가능하다. 분만 예정일이 다가오게 되면 생기는 자발적인 분만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 임신을 종...2024.11.11
-
임신성 고혈압 간호진단2024.09.301. 임신성 고혈압 1.1. 정의 및 특성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에 정상 혈압이었던 산모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임신 중 발생하는 고혈압성 장애로, 임신의 약 7-10%에서 합병되며 주산기 사망률은 10-20%에 달한다. 임신성 고혈압은 크게 경증의 전자간증과 중증의 전자간증, 자간증으로 분류된다. 전자간증은 고혈압과 단백뇨 및 병리적 부종이 동반되며, 자간증은 전자간증이 악화되어 경련과 혼수상태를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HELLP...2024.09.30
-
임신성고혈압 시나리오2025.08.261. 임신성 고혈압(PIH)의 이해 1.1. 임신성 고혈압의 정의 및 원인 임신성 고혈압의 정의는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는 고혈압 상태이다.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심혈관계 변화 등이 있다. 유전적 요인의 경우 가족력에 따라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면역학적 요인은 임신 중 면역 반응이 변화하면서 혈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심혈관계 변화의 경우 임신 중 혈관이 확장되어 혈압이 낮아지지만, 이러한 조절이 실패할 경우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비만, 당뇨병, 만성 고혈압, 고령 임신, 다태아 임...2025.08.26
-
분만실 기구2024.10.071. 분만실 기구 1.1. Delivery set 1.1.1. Episiotomy set Episiotomy set은 분만 시 회음절개술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 세트이다. 회음절개술은 태아의 머리가 통과할 때 회음부 피부를 절개하여 분만 통로를 넓혀 주는 것으로, 산모와 태아의 안전한 분만을 위해 필요한 시술이다. Episiotomy set에는 Episiotomy scissor, cord scissor, Kelly forcep, ring forcep, tissue forcep, needle holder 등이 포함된다. Episi...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