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4개
-
임상병리사 미생물2024.11.281. 임상병리학 개요 1.1. 임상병리학의 정의 임상병리학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자의 혈액, 조직, 생체액을 물리적, 화학적, 유전학적, 미생물학적으로 검사하는 학문이다. 질병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예후 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여 과학적인 방법으로 환자를 검사한다. 임상병리학의 주요 분야로는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이 있다. 1.2. 임상병리사의 역할 임상병리사는 의학의 여러 분야를 활용하...2024.11.28
-
담낭결석 케이스2024.11.201. 서론 1.1. 담낭증의 정의 및 발생 원인 담낭증(cholelithiasis)은 담즙의 고형 물질에 의해 담낭에서 형성되는 질환이다. 담석은 크기나 모양, 구성 물질이 매우 다양하며, 주로 콜레스테롤과 빌리루빈으로 이루어져 있다. 담석의 발생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주요 원인으로는 담즙의 성분 변화, 담낭의 정체, 감염 등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 담즙의 성분 변화를 보면 콜레스테롤 담석 환자의 담즙에는 콜레스테롤이 과포화되어 있으나 담즙산염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욱 두드러지게...2024.11.20
-
혈액검사 종류2024.12.261. 혈액 검사의 이해 1.1. 일반 혈액 검사(CBC) 1.1.1. 적혈구 적혈구는 순환하는 총 적혈구 수를 측정하는 검사로, 정상범위는 남자 450만~600만/mm3, 여자 400만~500만/mm3이다. 적혈구는 적혈구 속에 포함되어 산소를 운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혈색소를 가지고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에도 관여하며, 적혈구 하나에는 약 2억 8천만 개의 혈색소가 포함되어 있다. 적혈구의 증가는 탈수를 의미하며, 감소는 빈혈, 출혈, 골수 질환, 면역 질환, 독극물 섭취에 의한 적혈구 파괴를 나타낸다. 적혈구용적률(헤마토...2024.12.26
-
담석증 간호진단2024.11.211. 담석증 1.1. 담도계의 구조와 기능 담관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소화액)을 장으로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수많은 관으로 이루어진 담도는 간 안에 퍼져있는 작은 담관(간내담관)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굵은 담관으로 합류하여 간 밖으로 나와 총 담관을 형성하고 췌장두부를 통과하여 췌관과 합쳐지고 마지막에 유두부를 통해서 십이지장까지 도달한다. 담낭(쓸개)은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는 역할을 한다. 식사 시에 담낭이 수축하게 되어 그 안에 저장되어 있던 담즙이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1.2. 담석의...2024.11.21
-
간의 기능 - 담즙 분비, 저장2024.11.241. 간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1.1. 간의 구조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선(gland)으로 정상 성인의 간 무게는 1,300~1,800g이다. 간은 오른상위복부(RUQ)에 위치하며, 횡경막(가로막) 바로 아래에 놓여 있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오른엽과 왼엽으로 구분된다. 두 엽은 차례로 뒤, 앞, 내측, 외측 구역의 상하부분으로 나뉘어진다. 간의 뒷면에는 대략 H자 모양의 작은 두 엽, 즉 윗부분의 꼬리엽과 아래의 네모엽을 이루고 있으며 이 두 엽의 경계가 되는 부분을 간문이라 부른다. 간의 기능 단위는 주세포인 간세포로 이...2024.11.24
-
담낭절제술 case2024.10.011. 서 론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담석증은 담낭에서 생긴 담석이 담낭 경부, 담낭관 혹은 총담관으로 이동하여 염증이나 폐쇄를 일으켜 증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 질병은 연령적으로는 중년에 많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많은데 특히 40세 이상에서는 15~20명에 한 사람꼴로 담석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극히 일부 사람만이 이에 의한 증상을 나타내고, 대부분은 평생 지장 없이 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담석증에 대해 공부하고 이해함으로써, 이 질병을 가진 환자의 증상과 치료과정을 알고 빨리...2024.10.01
-
건강과 영양 및 간호 요약 정리2024.10.211. 영양소 개요 1.1. 탄수화물 1.1.1. 단순당 단순당은 한 개 또는 두 개의 당 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탄수화물의 한 유형이다. 단순당은 소화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흡수되며,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와 같은 단당류와 자당, 맥아당, 유당과 같은 이당류가 이에 해당한다. 단당류는 소화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흡수되어 곧바로 세포에서 이용되는 반면, 이당류는 흡수되기 전에 단당류로 분해되어야 한다. 이당류는 자당, 맥아당, 유당과 같이 두 개의 단당이 결합된 형태이다. 자당은 포도당과 과당이 결합한 것이고, 맥아당은 포도당...2024.10.21
-
식영과 혈액 생화학적 검사 영양판정2025.06.111. 서론 1.1. 식영과 혈액 생화학적 검사 식영과 혈액 생화학적 검사는 개인의 영양상태를 판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식생활조사를 통해 지방과 탄수화물 섭취 상태를 알아볼 수 있고, 혈액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혈청지질의 농도 차이를 확인하여 성인병과의 관련성을 고찰할 수 있다. 혈액 내에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터, 중성지방, 인지질, 지방산 등 5가지 지질이 존재하며 이들은 생명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콜레스테롤과 인지질은 세포막의 주요 성분이자 호르몬 합성의 주요 재료이며, 중성지방과 지방산은 에너지...2025.06.11
-
푸아죄유의 법칙과 수학22025.06.201. 푸아죄유의 법칙과 수학2 1.1. 혈류속도(blood flow velocity)의 이해 혈류속도란 몸 속에서 혈액이 혈관을 타고 흐르는 속도이다. 혈류속도는 혈관의 단면적에 반비례하는데, 즉 혈관의 단면적이 가장 적은 부위에서 혈류 속도가 가장 빠르다. 대동맥의 경우 혈류 속도가 시속 50cm이고, 모세혈관에서는 0.05cm/sec, 대정맥에서는 15~25cm/sec의 속도를 보인다. 이를 통해 신체에서 차지하는 총 단면적이 가장 넓은 모세혈관이 가장 느린 혈류속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동맥을 따라 심장에서 나...2025.06.20
-
피부구조와 화장품2025.06.161. 서론 1.1. 피부의 구조와 기능 피부는 인체를 덮고 있는 가장 큰 기관이다. 피부는 표피와 진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여러 가지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피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은 피부 장벽 기능을 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각질층은 벽돌 벽과 유사한 구조로, 각질 세포 사이사이를 지질이 채우고 있는 형태이다. 이 지질 성분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이 피부 장벽 기능을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표피에는 다양한 세포들이 존재하는데, 표피의 가장 기저층에는 멜라노사이트가 위치하여 멜라닌 색소를 합성...2025.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