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인간과 함께 공존하는 바이러스2025.03.301. 인간과 함께 공존하는 바이러스 1.1. 바이러스와의 공존 인간은 수많은 바이러스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바이러스는 인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14세기 유럽을 휩쓴 페스트 전염병은 중세 사회를 종식시키고 르네상스 시대를 열었으며, 15세기 말 유럽인들의 천연두 바이러스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거의 대부분을 몰살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차 세계대전 당시 발생한 스페인독감은 독일의 패전을 불러왔고, 최근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비대면과 온라인 시대가 앞당겨졌다. 이처럼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가 인류...2025.03.30
-
정신간호 우울 불안 자해2024.09.011. 대상자 사정 1.1. 일반적 특성 및 현병력 이 환자는 17세 여성 고등학생으로, 대인관계의 어려움과 자존감 저하로 인해 우울감, 자살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간헐적으로 죽음을 지시하는 목소리를 듣곤 하였으며, 자신이 더 이상 살아야 할 이유가 없다는 생각에 죽음에 대해 자주 떠올리고 약물을 과량복용하여 보존적 치료를 받기도 하였습니다. 환자는 최근 1주일 전부터 오토바이를 볼 때마다 자신을 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외출에 두려움을 느끼고 점차 죽음에 대한 생각에 몰두하였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자해 충동을 억제하는 ...2024.09.01
-
심혈관계2024.09.181. 심장과 혈관의 구조 및 기능 1.1. 심장의 구조와 혈액 순환 심장은 우리 몸의 피가 온몸을 돌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펌프 역할을 하는 순환계의 중심이자 근육으로 이루어진 기관이다. 심장의 구조는 혈액이 들어오는 2개의 방과 혈액을 내보내는 2개의 실로 되어 있다. 오른쪽 위에 위치한 우심방은 온 몸을 돌아다닌 혈액이 심장으로 들어오는 방이며, 우심방에 들어온 피는 우심실로 들어왔다가 폐로 보내진다. 왼쪽 아래에 위치한 좌심실은 혈액을 온몸으로 내보내는 곳이며, 왼쪽 위에 좌심방은 폐에서 혈액이 들어오는 방이다. 심장을...2024.09.18
-
최신의료2024.09.251. 의료용 대마 1.1. 대마의 법적 지위 대마는 현행법상 마약으로 분류되어 있어 국내에서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대마의 의료적 활용가치가 부각되면서 대마에 대한 규제가 점차 완화되는 추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마의 성분 중 하나인 CBD(Cannabidiol)를 함유하고 있는 약물인 'Epidiolex'를 뇌전증 환자들에게 건강보험을 적용하여 처방하고 있다. 또한 2020년 7월 경상북도 안동시에 "경북산업용헴프(의료용 대마)규제자유특구"가 지정되면서 국내에서도 대마에 대한 연구와 활용이 본격화되고 있다...2024.09.25
-
항상성을2024.09.301. 항상성(Homeostasis)과 신항상성(Allostasis) 1.1. 항상성의 개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생명체가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내부 환경을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능력"이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체내 다양한 장기와 기관들이 협력하여 상호작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많은 피드백 작용이 일어난다. 피드백은 크게 음성 피드백과 양성 피드백으로 나뉜다. 음성 피드백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메커니즘이며, 양성 피드백은 변화를 증폭시키는 메커니즘이다. 인체에서는 주로 음성 피드...2024.09.30
-
인체안의 전쟁2024.10.221. 인체실험의 역사와 윤리 1.1. 고대의학에서 인체실험과 히포크라테스의 가르침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헤로필루스(Herophilus)와 에라시스트라투스(Erasistratrus)는 의학사에서 해부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이들은 신경계의 존재를 발견했으며, 이들이 명명한 해부학적 구조의 명칭이 현대 의학용어에 까지 내려왔다. 이들은 강력한 프톨레미(Ptolemy) 왕가의 지원을 받아 사형선고를 받은 죄인들을 내어주어 생체해부를 할 수 있었다. 이들의 생체실험은 이후 시대에도 나타났던 윤리적인 문제들을 유발시켰다. ...2024.10.22
-
생명공학 mRNA 백신 연구 노벨상2024.11.201. 서론 mRNA는 번역의 주형으로 이용되는 RNA의 일종으로,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 즉, DNA가 가진 유전정보가 단백질로 표현되기 위해서는 먼저 DNA가 RNA로 전사되어야 하며, 이때 전사된 RNA를 mRNA라고 부른다. 실질적으로 단백질을 합성하기 위한 정보를 DNA로부터 리보솜이라고 하는 단백질 합성 기구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령 RNA'라는 이름이 붙었고 mRNA 백신은 2020년 COVID-19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해 처음으로 상용화되었다. mRNA 기술은 세포 밖에서 유전 정보를 전달하는 방...2024.11.20
-
전망대 기간제2024.11.211. 코로나19 팬데믹과 대응 1.1. 백신 접종과 오미크론 유행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주로 대증치료 외에 다른 치료방법이 없었으나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고 계약된 백신 접종률이 올라가면서 2021년 2월 26일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다. 백신은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에 넣어 투여하는 바이러스 벡터 백신,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항원으로 사용하는 불활화 백신,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RNA 형태로 투여하는 RNA 백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치료제는 바이러스를 중화(무력화)할 수 있는 항체...2024.11.21
-
미생물학 레포트 코로나2025.05.191. 서론 코로나바이러스의 현 상황을 살펴보면, 2021년 9월 28일 기준 전 세계 코로나 누적 확진자 수는 232,451,459명이며, 누적 사망자는 4,758,900명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감염세가 확산되었고,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1월 30일 코로나19에 대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였다. 이후 전 세계에서 새로운 확진자들이 나오면서 WHO는 3월 11일 팬데믹을 선포했다. 현재 2년째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는 여전히 많은...2025.05.19
-
바이러스 진화와 약의 발전2025.07.231. 바이러스 진화와 약의 발전 1.1. 바이러스에 대한 이해 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인 RNA나 DNA를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바이러스는 스스로 번식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숙주 세포에 기생하며 살아간다. 모든 종류의 세포생물에는 최소한 한 가지 유형의 바이러스가 기생하고 있어, 바이러스는 지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명체로 볼 수 있다. 바이러스의 관점에서 볼 때, 바이러스는 복제와 번식을 잘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해왔다. 생존을 위해 기생하는 서식지를 파괴하거나 기침과 같은 증상으로 다른...2025.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