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9개
-
간담도계2024.10.30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및 병태생리 1.1. 위장관계 구조와 특성 1.1.1.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항문 구강은 저작, 타액분비, 연하기능을 수행한다. 타액은 음식물을 부드럽게 하며 프리알린 효소가 전분을 maltose로 분해한다. 식도는 23~25cm의 근육성 관으로 음식물이 위로 가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할 때 수축과 이완을 하며 식도 중간 부위 근육층에는 점액을 분비하는 샘이 있다. 위는 LUQ에 위치하며 위기저부, 몸체, 유문동으로 구성된다. 위 말단부와 십이지장의 경계부에는 유문조임...2024.10.30
-
내분비호르몬 작용기전2024.10.301. 글리코겐 1.1. 글리코겐의 정의와 구조 글리코겐은 다당류의 일종으로, 단당류인 포도당이 α-1,4 및 α-1,6 결합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구조의 화합물이다. 글리코겐은 백색의 분말로 무미무취하며, 물에는 잘 녹지만 유기용매에는 녹지 않는다. 전분과 성질이 유사하여 동물성 전분이라고도 불린다. 글리코겐은 C6H10O5의 기본 구조를 가지며, 수백만 분자량의 거대 분자로 구성되어 있다. 글리코겐의 가지가지가 서로 α-1,6 결합을 이루어 나뭇가지 모양의 중합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체내에 필요한...2024.10.30
-
파킨슨 soap2024.10.301. 급성 췌장염 1.1. 정의 및 원인 1.1.1. 췌장의 정의 및 역할 췌장은 길쭉하고 편평한 모양을 하는 장기로서 그 길이가 13 cm, 중량은 100 g 내외이다. 췌장은 배꼽 위쪽의 뱃속 깊이 위치하는데 위장 아래쪽의 후복강 내에 있다. 췌장의 중요한 역할은 두 가지인데 우리가 먹는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에 필요한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 기능과 당을 조절하는 인슐린과 같이 체내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 분비의 내분비 기능이다. 1.1.2. 급성 췌장염의 정의 급성 췌장염은 pancreas(췌장)의 갑작스러운 염증 반응으...2024.10.30
-
조골세포 분화2024.11.251. 내분비계와 골다공증 1.1. 내분비계의 구성과 기능 1.1.1.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내분비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기관이다. 뇌하수체는 전엽과 후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중요한 호르몬에는 성장호르몬, 갑상선 자극호르몬,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난포 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등이 있다. 성장호르몬은 뼈의 형성과 성장, 3대 영양소 대사에 관여한다. 분비가 항진되면 거인증이, 분비가 저하되면 말단비대증 및 난쟁이가 나타난다. 갑상선 자극호르몬은 갑상선에서 ...2024.11.25
-
생명과학실험 내분비 면역기관 관찰2024.11.081. 생쥐 내분비 면역기관 관찰 1.1. 실험 목적 1.1.1. 내분비 기관 및 면역 기관의 해부학적 구조 관찰 생쥐의 내분비 기관 및 면역 기관의 해부학적 구조를 관찰한 결과, 내분비 기관으로는 시상하부,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췌장, 난소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 기관으로는 흉선, 골수, 비장, 림프절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시상하부는 비슷한 기능의 신경세포들이 모여 있는 작은 핵들의 집단으로, 뇌하수체와 인접해 있으며 호르몬 분비를 조절한다. 뇌하수체는 간뇌 아래쪽에 매달려 있는 내분비 기관으로, 전엽·중엽...2024.11.08
-
건강사정 복부2024.09.211. 복부 해부학 1.1. 내장의 분류 복부 내장은 크게 단단한 내장과 속이 빈 내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단한 내장은 특정한 모양을 유지하는 장기로, 췌장, 간, 비장, 신장, 난소, 자궁 등이 이에 속한다. 반면 속이 빈 내장은 내장 속 내용물에 따라 다른 모양을 갖는 장기로, 위, 담낭, 소장, 결장, 방광 등이 해당된다. 단단한 내장은 일반적으로 촉진이 가능하지만, 속이 빈 내장은 대개 촉진되지 않는다. 복부 내장의 분류는 각 장기의 해부학적 구조와 특성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는 복부 검사 시 정확한 위치 파악과 장기 확...2024.09.21
-
혈당 상승의 병리학적 기전2024.09.221. 내분비계 1.1.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내분비계는 모든 신체계통과 연관되어 생리적인 측면에 영향을 주는 상호전달체계이다. 외분비샘은 관 또는 직접 장관이나 피부에 효소나 분비물을 내보내는 반면, 내분비샘은 호르몬을 직접 혈류로 분비하는 체계이다. 내분비계는 샘과 샘 조직, 표적기관 또는 수용체로 구성되며, 주요 내분비샘에는 시상하부, 뇌하수체,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 이자의 랑게르한스섬, 생식샘 등이 있다. 내분비샘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은 혈류를 따라 이동하여 표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기관의 기능을 자극하거나 억제...2024.09.22
-
수문사 인체구조와기능2024.10.121. 인체의 구성 1.1. 근육조직 근육조직은 반응성, 전도성, 수축성, 신전성, 탄력성의 5가지 주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반응성은 화학적 신호나 신전과 같은 자극에 반응하여 형질막을 통해 전기적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전도성은 국소적인 전기적 변화가 축삭을 따라 급속도로 전달되어 수축을 유발하는 과정을 시작하는 것이다. 수축성은 자극을 받을 때 실제로 짧아지는 고유의 능력이며, 이를 통해 뼈나 다른 기관을 잡아당겨 움직임이 일어나게 된다. 신전성은 근육이 수축하기 위해서는 근육세포가 신전될 수 있어야 한다는 특징이다...2024.10.12
-
췌장암2025.05.011. 서론 1.1. 췌장암의 정의와 특성 췌장은 길이 약 15cm의 가늘고 긴 장기로, 위의 뒤쪽에 위치하며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고 비장과 인접해 있다. 췌장은 선방세포에서 분비하는 췌액이 주췌관을 통해 총담관과 합쳐져 십이지장으로 흘러가면서 소화에 관여하는 외분비 기능과, 랑게르한스섬에서 혈액 내로 분비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등의 호르몬을 통한 내분비 기능을 가지고 있다. 췌장암은 췌장에 발생한 암세포의 덩어리이며, 전체 췌장암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췌관 선암종이 가장 대표적이다. 췌장암은 타 장기로의 빠른 전이로 인해...2025.05.01
-
A 급성 췌장염 case study2025.05.111. 서론 1.1. 연구 목적 급성 췌장염 환자의 임상증상을 사정하고 간호문제에 중점을 둔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여 대상자의 치료를 돕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급성 췌장염에 대해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급성 췌장염은 담석, 음주, 대사 장애, 약물, 복부 손상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췌장선 세포의 손상이 발생하고, 광범위한 간질성 부종, 출혈 등을 유발하는 췌장의 급성 염증성 질환이다. 복통은 급성 췌장염의 가장 중요한 임상 증상이며, 위쪽 복부 또는 배꼽 주위에서부터 등쪽이나 좌측 옆구리로 통증이...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