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제주도 사례 기반 시민배당 및 기본소득 비교 연구2024.09.211. 시민배당의 개념 1.1. 시민배당의 정의 시민배당이란 일정한 몫을 기여, 즉 돌봄이나 정치적 활동 등 노동 이외의 활동에 대해서 대가로 지불하는 것이다. 함께 만들어낸 재산에 대해 소득을 얻을 권리가 모든 사람에게 있다는 아이디어이다. 시민배당은 기본소득의 일종으로, 인간의 노동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본래부터 존재해 왔던 것에서 나오는 수익은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나눠 가질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토지는 대표적인 공유재이며, 여기서 나오는 수익을 소수가 독점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따라서 수익 중 일부를 걷어 모...2024.09.21
-
공동모금회 프로포절2025.07.141. 서론 1.1. 공동모금회 프로포절의 필요성 우리 사회에서 저출산과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인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대구와 경북 지역의 독거노인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이 늘어나면서 고독사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60대 이상 노인의 사회적 고립도가 41.6%로 20대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혼자 지내는 노인들이 늘어나면서 신체적, 정신적 위기 상황에서 도움받을 곳이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또한 구미 지역의 노인요양원에서 개...2025.07.14
-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장단점을 논하시오2025.08.191. 서론 우리나라는 사회복지 업무가 중앙정부로부터 지방정부로 전면 이양되면서 지역주민의 생존권 보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역사회복지 활성화가 지방자치시대에서 가장 중요해졌다. 이러한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는 지방분권화로 인하여 중앙집권식 사회복지제도가 지방정부로 이양되는 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실질적 욕구와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를 실천하기 위해 지역주민 참여를 필요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그동안 개인과 가족 변화를 통해 미시적 사회복지실천에서 나타났던 한계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거시적 사회복지실...2025.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