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위험성평가 우수사례2024.09.10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1.1. 대구 북구 보건소의 '건강한 지역사회, 이제는 주민의 힘으로!' 사업 1.1.1. 사업 개요 대구 북구 보건소의 '건강한 지역사회, 이제는 주민의 힘으로!' 사업은 2013년부터 시작된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 사업은 주민참여형 건강 걷기동아리 운영과 건강생활실천 건강동아리 운영의 두 가지 추진전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민참여형 건강 걷기동아리 운영에서는 우수동아리와 활동우수자...2024.09.10
-
지역사회간호학 풀이2025.06.131. 지역사회간호학 개요 1.1. 지역사회 간호의 개념과 목적 지역사회 간호는 특정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개인, 가족, 집단의 건강 유지와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간호 서비스이다. 지역사회 간호는 개인과 가족의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 문제를 사정하고 해결책을 모색한다. 지역사회 간호의 목적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고, 건강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예방하며, 지역사회 간호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지역사회 간호는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의 건강 ...2025.06.13
-
patch 모형2025.08.121. 서론 질병과 건강 위험요인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지역사회 보건 기획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사회 보건 기획 모형이 개발되었다. 이 중 PATCH(Planned Approach to Community Health) 모형과 MAPP(Mobilizing for Action through Planning and Partnerships) 모형, 그리고 논리모형(logic model)은 대표적인 지역사회 보건 기획 모형이다. 이들 모형은 지역사회 건강 증진을...2025.08.12
-
동래구 보건소 역할과 건강증진사업2025.03.101. 부산광역시 동래구 보건소 역할 1.1. 지역사회 건강증진 중추기관으로 양질의 서비스 제공 동래구 보건소는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중추기관으로서 양질의 보건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지역사회진단을 통해 보건 기초자료를 확보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의 보건 의료 공급 및 수요 측면을 조사하여 지역주민의 건강수준, 만성질환관리 및 건강조사, 보건 의료 서비스 만족도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 지역주민 1,000명을 대상으로 2년 1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기관 및 단체와도 긴밀히 협력하여 지역진단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보...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