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7개
-
고위험 분만 간호2024.09.051. 고위험 분만 1.1. 난산 1.1.1. 정의 난산은 분만과정이 정상에서 벗어나 지연되고 어려운 분만 상태를 의미한다. 즉, 분만시간이 길고 분만과정이 비정상적으로 지연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난산은 만출력의 이상, 태아의 이상, 산도의 이상, 산부의 심리적 이상, 자세의 이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1.1.2. 원인 1.1.2.1. 만출력 이상 만출력 이상은 분만 과정에서 비효율적인 자궁수축과 산부의 힘주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이다. 만출력 이상에는 크게 고긴장성 자궁기능부전, 저긴장성 자궁기능부전...2024.09.05
-
여성실습 자가학습2025.04.251. 여성건강간호학 실습과 자가학습 1.1. 정상 임신에 관한 학습 임신 시기에 따른 여성 생식기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임신 초기에는 자궁이 새로운 근세포들의 확장과 비대로 인해 점차 증대되며, 자궁 비후와 함께 자궁의 모양과 크기가 변화한다.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자궁은 난원형으로 변하고, 크기와 부피가 계속 증가하여 임신 말기에는 길이 28cm, 넓이 24cm, 두께 21cm, 용적 5,000ml에 이르게 된다. 자궁 혈류 또한 임신과 태아 및 태반의 발달로 인해 점차 증가한다. 경관 역시 혈관 증가, 부종 및 비후, ...2025.04.25
-
둔위 제왕절개 간호진단2024.10.1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이란 복부 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으로, 출산 과정에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선택되기도 한다. 최근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2014년 38.7%, 2018년 47.3%, 2022년 61.7%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제왕절개분만의 5대 적응증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아주 심한 자간전증,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 태아 질식 또는 임박한 질식이 있으며, 그 외에도 횡위, 둔위 등 태아 자세에 문제가 있는 경우...2024.10.10
-
보건의료계획안 퇴원교육(제왕절개2025.06.171. 서론 1.1. 제왕절개분만의 정의와 현황 제왕절개분만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제왕절개분만은 19세기 이후 현대적 마취와 무균 수술 기술이 발전되면서 모성과 영아 모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기술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전 세계적 단위에서 제왕절개 분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5%에서 21.1%로 늘어났다. 특히 동아시아 지역의 제왕절개 분만율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르며, 한국의 경우 2022년 기준 제왕절개 분만율이 61.9%에 달한다. 이는 2018년 46.9%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로, 현재...2025.06.17
-
여성간호학 실습 만삭 조기파막 케이스2025.06.131. 서론 1.1. 여성간호학 실습에서의 만삭 조기파막 사례 만삭 조기파막은 임신 37주 이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상태이다. 이는 합병증, 의학적 치료, 간호 측면에서 임신 37주 이후의 조기파막과 차이가 있다. 조기파막의 80~90%가 24시간 이내에 분만을 시작하는 반면, 만삭 전 조기파막의 경우 20~40%가 7일 혹은 그 이상 분만을 지연시킬 수 있다. 양막 파열은 임신이 만삭에 가까워졌음을 알려주는 징후이며, 제대 탈출의 가능성 증가와 자궁 내 감염의 위험성 증가를 야기한다.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에 대한 치료는 재태기간...2025.06.13
-
조기진통 양수파막2025.06.231. 조기진통과 양수파막 1.1. 조기진통 1.1.1. 정의와 원인 조기진통은 임신 20주~37주 사이에 자궁경관의 개대와 소실이 동반되면서 규칙적으로 자궁수축이 시작되는 것이다. 조기진통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조기양막파열을 동반하거나 조기양막파열 없이 오는 조기진통, 임신성 고혈압, 태반이상 등 고위험 임신이 유발요인이 될 수 있다. 조기진통은 자궁경관 무력증, 선진부의 진입 지연, 양수감염, 다태임신, 자궁내 감염, 임신 중 저체중 등과 관련이 있다. 또한 임신성 고혈압이나 당뇨와 같은 모성 요인에 의해서도 ...2025.06.23
-
제왕절개간호진단2024.11.141. 제왕절개분만과 관련된 간호 1.1. 체액 부족의 위험 제왕절개분만 후 산모는 출혈로 인한 체액 부족의 위험에 놓이게 된다. 제왕절개분만의 경우 질식분만에 비해 출혈량이 많으며, 특히 전치태반이나 과다출혈이 동반될 경우 출혈량이 현저히 증가하여 체액 부족이 초래될 수 있다. 실제로 본 사례에서도 산모는 분만 당시 약 1,200cc의 출혈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체액 부족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피부 탄력의 감소, 점막의 건조, 혈압 저하, 빈맥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혈중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수치 저하로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