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0개
-
제세동기 pacing mode2025.03.021. 제세동기 사용 방법 1.1. AED MOED (자동제세동기 모드) 사용방법 제세동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충전 상태와 기본적인 부품 또는 물품을 점검한다. 그 다음 Mode select knob를 돌려 'MONITOR MOED'로 설정한다. 전극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고 리듬을 확인한다. 그 후 Mode select knob를 돌려 'AED MOED'로 설정한다. 외부 패들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면 제거하고 패드 전용 케이블로 교체한다. 패드를 환자에게 정확히 부착한 후 화면 및 음성 지시에 따른다. 마지막으로 안전을 확인하고 ...2025.03.02
-
제세동기 pacing mode2025.03.021. 제세동기 사용 방법 1.1. AED 모드(자동 제세동기 모드) 사용 방법 제세동기의 상태를 확인한다. 충전 상태와 기본적인 부품 및 물품의 상태를 점검한다. 이어서 Mode select knob를 MONITOR MODE로 설정하고, 전극을 올바른 위치에 부착한 후 심장 리듬을 확인한다. 이어서 Mode select knob를 AED MODE로 설정한 뒤, 패드 전용 케이블을 연결한다. 다음으로 전극 패드를 환자의 몸에 부착하며, 심전도 전극, 배액관, 드레싱 재료, 약물 패치 등이 있는 부위에는 부착하지 않는다. 그리고 화면...2025.03.02
-
심폐소생술 교육 및 중요성2025.03.14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개념 심폐소생술은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되는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으로 행하는 시술이다.심폐소생술은 정지된 심장에 압박을 가하여 효과적인 심박을 유지하면서 뇌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량을 유지시키기 위해 기도 확보, 인공호흡, 순환유지 등의 응급처치를 하는 것을 말한다. 심폐소생술은 점차 발전하여 제세동, 약물투여 등의 전문적인 치료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정상 심박동이 돌아올 때까지 뇌신경 조직과 다른 장기들의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시키는데 ...2025.03.14
-
의식수준 사정 및 단계2025.04.021. 의식수준 사정 1.1. Level of Consciousness (의식수준)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확인하는 것은 의식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환자의 주소, 담당의사명, 현재의 날짜, 장소 및 자신의 질병 등에 대한 진술능력을 통해 의식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의식을 활성화하는 부위의 손상에 따라 의식수준이 다르며, 의식이 저하된 경우에는 이름을 크게 부르거나 통증을 유발시켜 반응을 확인한다. 의식상태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로 Glasgow coma scale(GCS)을 많이 사용한다. GC...2025.04.02
-
carl shapiro2024.08.311. 환자 평가 1.1. 초기 평가 1.1.1. 활력징후 확인 활력징후 확인은 환자 평가의 핵심 요소로, 환자의 생체 기능을 측정하여 병리적 상태를 알아내는 데 필수적이다. 의료진은 환자의 활력징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활력징후 확인에는 체온, 맥박, 호흡, 혈압 등이 포함된다. 체온은 체내 열 균형을 나타내며, 정상 범위는 36.5~37.5°C이다. 맥박은 심장의 수축과 확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상 범위는 분당 60~100회이다. 호흡은 가스 교환을 반영하며, 정상...2024.08.31
-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2024.09.121. 중환자실 의료 장비 및 기구 1.1. 심전도(EKG) 1.1.1. 심전도의 개념과 유도법 심전도(EK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비침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 방법이다.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그래프로 기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심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 효과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심전도 유도법에는 12유도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12유도법은 사지 유도와 흉부 유도로 구분되며, 서로 다른 관점에서 심장의 전기 활동을 기록한다. 사지 유도는 표준사지 ...2024.09.12
-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2024.09.121. 한국형 응급환자분류체계(KTAS) 1.1. KTAS 정의 및 특징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symptom-oriented) 분류하는 도구이다. KTAS는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 도구(CTAS,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하여 제한된 공간과 자원 안에서 효과적으로 진료 순서를 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KTAS는 환자의 첫인상 위험도 평가, 감염성 질환...2024.09.12
-
제세동기2024.09.281. 제세동기(Defibrillator) 1.1. 제세동기의 개요 제세동기(Defibrillator)란 심장의 전기적 충격을 전달하는 장비로,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이나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등의 치명적인 부정맥이나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부정맥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한다. 전기적 충격요법에는 심율동 전환과 제세동이 있다. 제세동은 심장의 흥분주기와 관련없이 강력한 전기적 자극(unsynchronized countershock)을 심근에 전달하는 과정으로 심실세동 등...2024.09.28
-
약물로 인한 심정지 케이스2024.08.23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이다. 심정지는 심장이 갑자기 멈추어 더 이상 혈액을 순환시키지 못하는 상태로, 수 분 내에 치명적인 뇌손상이 올 수 있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즉시 신속하고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심폐소생술은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통해 심장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대신하여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심정지 환자에게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2024.08.23
-
CPR 시뮬레이션2024.12.161. CPCR 시뮬레이션 1.1. 시나리오 제 5병동 2호실 83세 남자 환자(진단명: colon ca)의 보호자가 "아버님이 이상해요"라고 급히 도움을 요청했다."" 담당 간호사는 환자를 평가하기 시작하였다. 환자의 피부는 창백하고 건조하였으며, 호흡은 없었고 경동맥에 맥박이 촉지되지 않았다. 의식 또한 없는 상태였다."" 담당 간호사는 먼저 의식, 호흡, 맥박을 확인하였다. 의식은 없었고, 호흡도 없었으나 맥박은 있었다. 이후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심전도와 산소포화도 모니터를 연결하였다."" 그리고 담당 간호사는 즉시 코드블루 ...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