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공학자정약용2024.10.311.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1.1.1. 출생과 성장 정약용은 1762년(영조 38년) 고향 마재에서 태어났다. 당시 세상은 어려운 상황이었는데, 정조가 사망하고 정권을 탈취하려는 세력들이 득세하면서 정치적 갈등과 혼란이 극심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정약용은 어린 시절부터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정약용의 가문은 유명한 집안으로, 8대 옥당 가문에 속했다. 대대로 높은 벼슬을 지내온 훌륭한 조상들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그가 태어난 마재는 정약용 가문의 오랜 터전이었으며, 초기 천주교 인사들이 ...2024.10.31
-
열녀전2025.06.141. 서론 열녀전은 여성의 절개와 충절을 다루는 대표적인 고전 소설이다. 이 작품들은 여성 인물들의 고결한 행위와 희생을 통해 전통적인 윤리관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열녀 담론에는 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각과 한계가 내재되어 있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녀전과 관련 논의들을 통해 전통 사회에서의 열녀 개념과 그 표현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열녀 담론의 변화와 그 의의를 고찰함으로써 보편적 윤리관 정립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판 열녀춘향전과 열녀함양박씨전, 열부론...2025.06.14
-
수원화성 답사2025.05.201. 수원화성 답사 1.1. 건축학 전공생이 바라본 정조의 수원화성 이것은 우연이 아니라 필연이다. 필자는 현재 신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학부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있다. 동시에 한국의 역사를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청년이다. 때문에 자생적인 근대화를 이끌고자 했던 한 국왕의 뜻을 헤아리고, 동양 최초의 신도시라 불리는 수원화성을 거닐어 본다는 것은 그 자체로 엄청난 경험이라 할 수 있다. 건축학 전공자로서 화성의 도시계획적 아름다움에 도취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 또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수원화성과의 만남은 분명 우연이...2025.05.20
-
조선시대 차문화사2025.04.291. 조선시대 차문화의 형성과 전개 1.1. 차의 기원과 전래 차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마신 것으로 전해지며, 중국 신화에는 신농씨염제가 처음 차를 발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차의 역사는 약 5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인들은 신농씨염제를 차의 신으로 여기며 그의 무덤을 차산(茶山)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유럽에 중국의 차가 알려진 것은 1559년 베네치아의 저술가 G.라무시오가 펴낸 '항해와 여행' 저서에서부터이다. 이후 네덜란드와 영국의 동인도회사가 동양의 차를 유럽 각국에 유입시켰다. 프랑스와 독일, 영국 등에...2025.04.29
-
정선목민심서2025.04.281. 정선목민심서 개요 1.1. 작품 소개 정선목민심서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실학자 정약용이 지방 수령의 역할과 자세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저서이다. 정약용은 유배 생활 중에 지방 행정 현장을 직접 경험하면서 지방민을 돌보는 수령의 자세와 지방 행정의 실제에 대한 고민을 담아냈다. 이 책은 지방 수령이 부임하면서부터 임기를 마칠 때까지 알아두어야 할 모든 사무를 12부 48권 16책의 방대한 분량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수령의 자기 수양, 청렴성, 백성에 대한 사랑과 구휼, 지방 행정의 실제와 세부 지침 등을 상세히 설명하여 당...2025.04.28
-
목민심서를 통한 정약용을 알아보자2025.05.311. 서론 1.1. 목민심서 소개 목민심서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이 지방관의 자세와 책임을 다루기 위해 저술한 지침서이다. 이 책은 총 12편 72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방 관리들이 백성들을 어떻게 다스리고 보살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정약용은 이 책을 통해 당시 고질적인 문제였던 부패와 관리들의 무능을 지적하며, 백성을 사랑하고 보호하는 목민관의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그의 '애민정신'은 백성의 삶을 개선하고자 하는 진심어린 바람이 깃들어 있어, 현대에도 여전히 회자되며 공직자들의 귀감...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