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8개
-
수술마취종류와 전후간호2025.03.231. 수술 마취의 종류 1.1. 전신마취 전신마취는 흡입마취제 및 정맥 마취제를 사용하여 수술을 하는 동안 환자의 의식을 소실시켜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고, 근육이완제를 사용하여 근육을 이완시켜 수술을 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상태로 이르도록 한다. 전신마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마취약제를 주입하거나 마취가스를 흡입시켜 의식을 소실시킨다. 그 후 근육이완제를 사용하여 근육을 이완시키며, 기관내 삽관하여 인공호흡을 시행한다. 마취약제의 지속적인 주입이나 마취가스의 지속적 흡입으로 마취를 유지하고, 수술이 종료되면 마취약제나...2025.03.23
-
수술마취종류2025.03.231. 마취 종류 및 특징 1.1. 전신마취 전신마취는 마취약제를 통해 중추신경계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의식소실, 감각차단, 운동차단, 반사차단을 포함하는 전신적인 감각 및 통증 인지능력의 상실을 유도하는 마취방법이다. 흡입마취제 및 정맥마취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의식을 소실시키고, 근육이완제를 사용하여 근육을 완전히 이완시켜 수술을 하는 데 최적의 상태를 만든다. 마취과 의사는 마취기, 맥박 산소포화도, 심전도, 혈압감시장치 등과 환자의 호흡 적절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가스 분석 등을 사용하여 환자의 안전을 위해 진료행위를 수행한다...2025.03.23
-
전신마취 후 소변2025.04.081. 간호사정 1.1. 주관적 자료 "전신마취 후 소변이 나오지 않아 매우 불편해요." 전신마취 후 환자는 화장실에 가고 싶지만 소변이 나오지 않아 매우 불편한 상황이다. 환자는 배뇨를 시도하면 불편한 느낌이 드는데,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소변이 자주 마려운 느낌이 있지만 실제로는 소변이 나오지 않아 계속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전신마취 후 배뇨가 잘되지 않아 매우 불편하다는 것을 토로한다. 소변이 나온 후에도 여전히 배뇨 욕구가 느껴진다고 한다. 1.2. 객관적 자료 환자는 전신마취 이후 배뇨량이 현저히 감...2025.04.08
-
수술실실습일지2024.10.251. 수술실 실습 개요 1.1. 수술실 구조와 역할 수술실은 수술실, 소독 및 세척실, 회복실, 당직실, 의사 갱의실, 간호사 갱의실, 오물처리실, 소독 물품 보관실, 마취과 준비실, 마취과장실, 물품 보관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술실은 수술이 진행되는 곳으로, 의사와 간호사가 수술을 진행하는 공간이다. 수술실에는 3번방, 5번방, 7번방, 8번방, 9번방, 10번방, 11번방, 12번방, 응급수술방이 있으며, 6번방은 마취과 준비실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수술을 위한 여러 개의 수술방이 수술실에 마련되어 있다. ...2024.10.25
-
마취의종류2025.05.121. 전신마취 1.1. 전신마취의 종류 1.1.1. 흡입마취 흡입마취는 가스나 액체 마취제를 기체로 만들어서 마스크와 기관내관(endotracheal tube)을 거쳐 폐로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는 가장 표준적인 전신마취 형태로 사용되며, 모든 수술에 적용이 가능하고 최대의 편안한 상태에서 장시간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호흡기계와 순환기계의 억제, 고도의 기술과 장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흡입마취제는 크게 기체와 휘발성 액체제로 나뉜다. 가스형태의 약제인 Nitrous oxide(N2O)는 마취 유도와 회...2025.05.12
-
수술 후 통증관리2024.09.101. 수술 후 통증관리 1.1. 수술 후 통증관리의 목적 수술 후 통증관리의 목적은 수술 후 기동성 증진, 치료와 회복 동안 최적의 안위 유지, 수술 후 빠른 회복과 재활, 그리고 무기폐, 장폐색, 심부정맥혈전증, 상처치유 지연 등의 합병증 예방에 있다. 수술 후 기동성 증진은 통증 관리를 통해 환자가 빨리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치료와 회복 동안 최적의 안위를 유지하는 것은 통증 완화를 통해 환자의 편안함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수술 후 빠른 회복과 재활은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긍정적인 예후를 기대할...2024.09.10
-
마취종류2024.10.211. 마취의 종류 1.1. 전신마취 1.1.1. 전신마취의 정의와 특징 전신마취는 뇌의 기능을 억제하여 의식, 감각, 운동 등의 소실을 유발함으로써 수술이나 시술 중 환자의 통증을 차단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방법이다. 전신마취에서는 의식과 감각이 없어지고 골격근이 이완되며, 폐환기와 심혈관계 기능의 손상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침이나 연하, 구토, 교감신경계 반응과 같은 체성 신경, 자율신경과 내분비 반응이 소실된다. 전신마취제는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기도 내 흡입이나 혈관 내 주입 또는 밸런스 마취(정맥...2024.10.21
-
마취간호2024.10.22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마취는 의식과 감각 및 반사 작용이 소실된 상태를 의미한다. "마취"란 말은 18세기까지 단순히 감각의 소실만을 뜻하는 용어였으나, 19세기에 에테르를 사용하여 마취에 성공하면서 의식의 소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현대에는 전신마취와 국소 혹은 부위마취가 주된 마취 방법이며, 마취 과정에서 환자의 생명활동 유지와 통증 관리를 위한 다양한 보조제가 사용된다. 마취는 수술이나 시술 중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안전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진료 행위이며, 이를 위해 숙련된 마취 관리...2024.10.22
-
수술전후간호2025.04.301. 수술 전 간호 1.1. 일반적인 검사 수술 전 일반적인 검사는 수술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수술에 대한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CBC(일반혈액검사), 혈액 응고검사, 요분석,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 혈액형 검사, AB screening test, 면역혈청 검사, 흉부 X-선, 심전도 검사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수술 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마취 및 수술에 따른 위험성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수술 전 환자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안...2025.04.30
-
BPB2025.04.241. 마취의 종류와 특징 1.1. 전신마취 1.1.1. 정의와 기전 전신마취는 보호 반사의 손실과 함께 의학적으로 유도된 무의식 상태이다. 하나 이상의 전신 마취 작용 물질을 투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신마취제는 혈액순환을 통해 혈액-뇌방벽을 통과하여 뇌조직에 도달하게 된다. 마취제의 농도 및 환자 상태에 따라 대뇌 피질의 고위중추와 하위중추, 시상, 척수를 순서대로 마취시켜 수술에 필요한 마취상태를 가져온다. 그러나 마취심도가 과도할 경우 연수를 억제하여 호흡정지와 순환부전을 초래하여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1.1.2. 장단점...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