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미숙아 간호진단2024.09.261. 미숙아의 정의와 원인 1.1. 정의 미숙아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출생체중과 관계없이 재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이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의미한다. 미숙아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 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합병증 빈도도 높다. 출생시의 체중이 2500g 이하인 저출생아의 2/3는 미숙아이다. 즉, 미숙아는 재태기간 37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로, 해부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으로 미성숙하여 여러 가지 건강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신생아를 의미한다. 1.2. 원인 1...2024.09.26
-
신생아 괴사성 장염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실2024.12.111. 신생아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1.1. 정의 신생아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은 신생아의 소장이나 대장에 생기는 괴사성 장염이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신생아 중증 질환의 하나로 장 점막의 괴사가 다양한 정도로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하더라도 사망률이 20%에 이르는 무서운 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1.2. 병태생리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원인불명의 장 허...2024.12.11
-
분만직후 신생아 간호과정2025.05.161. 신생아 간호과정 1.1. 분만직후 신생아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처치 분만직후 신생아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처치이다. 먼저 신생아의 이름표를 확인하고 아기 침대에 이름표를 부착한다. 이후 신체사정을 실시하여 두혈종, 산류 등 이상 여부를 평가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신체계측을 실시한다. 기도 개방을 유지하기 위해 lateral Head down position을 취하고 미리 따뜻하게 준비한 침대에 눕힌 후 옷과 포로 보온을 해준다. 또한 방의 온도는 24-25°C, 습도는 50-60%를 유지한다. 신생아의 신속한 자궁 외 ...2025.05.16
-
Elbw2025.07.191. 서론 1.1. 미숙아의 정의와 유형 미숙아란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말한다. 반면에 재태 기간과 상관없이 출생 시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를 저체중 출생아(LBW, low birth weight)라고 한다. 저체중 출생아 중에서도 출생 시 체중이 1,500g 미만인 경우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라 하며, 1,000g 미만인 경우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birth weight)라고 분...2025.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