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조기진통 간호진단2024.11.181. 개요 1.1. 태반(placenta) 태반은 착상 시부터 형태가 시작되며, 모체와 태아의 혈액이 섞이지 않도록 융모간강을 형성하는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반은 임신 12주 이후에 완성되며, 임신 20주에는 자궁표면의 반 정도를 덮을 정도로 지속적으로 커지며 두껍게 성장한다"." 태반은 내분비 기능, 대사 기능, 면역 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호르몬 생산 기능을 통해 수정 후 8~10일부터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hCG)을 분비하고, 임신 60~70일경에 최고치를 보인 후 점점 떨어져 산후 1주일에 사라...2024.11.18
-
조기진통 간호진단2024.11.111. 조기진통 1.1. 정의 및 원인 조기진통은 임신 20주~37주 사이에 산모의 자궁 경부가 80% 이상 얇아지고, 자궁 경부의 확장이 1cm 이상인 상태이면서 자궁수축이 20분에 4회 이상이거나 60분에 8회 이상일 때 진단한다"" 조기진통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양막 파수, 자궁경관무력증(IIOC), 자궁기형, 양수과다증, 다태아,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등이 조기진통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당뇨나 전치태반과 같은 내과적·산과적 합병증, 그리고 ...2024.11.11
-
자궁경관무력증2025.06.151. 서론 자궁경관무력증은 자궁경부가 약해서 임신을 만삭까지 유지하지 못하고, 임신중기에 자궁경부가 저절로 열리면서 양막이 질 내로 돌출되어 결국 유산 또는 조산되는 질환이다. 이는 출생의 1/1,000, 유산의 1/100, 습관성 유산의 1/5의 빈도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오늘날 고 위험 임신은 현대 의학에서 위급하고 긴급한 문제 중의 하나로 점차 그 발생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다음 임신에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조산의 재발 위험이 높으므로 더블맥 등의 자궁경부원형결찰수술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목적의 수술이 필요하다. 그...2025.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