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개
-
위장관출혈 대본2025.04.301. 위장관출혈 대본 1.1. 시나리오 이해 및 분석 응급실에 내원한 62세 여성 나복동 환자는 지난 1주일간 속쓰림과 검은 변을 소량 보았으나 그 외 다른 증상은 없었다. 그러다 2일 전부터 어지러움이 발생하였고, 내원일 저녁 7시경부터 복통과 어지러움이 심해져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나복동 환자는 평소 관절염으로 인해 NSIDS(아세클로페낙 100mg, bid)를 복용해왔으며, 최근 아들의 사업실패로 큰 스트레스를 받아 식사를 거의 하지 못했다고 한다. 응급실 내원 시 활력징후는 BP-100/60, T-36.2℃, P-98회...2025.04.30
-
신생아 쇄골골절2025.04.281. 서론 1.1. 신생아 쇄골골절의 개념과 특징 신생아 쇄골골절은 출산 시 아기에게 종종 발생할 수 있는 손상 중 하나이다. 이는 재태기간에 비해 큰 태아를 출산하는 경우, 초산인 산모의 골반이 좁은 경우, 다리부터 분만되는 둔위분만을 하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신생아의 몸무게가 증가할수록 쇄골골절의 빈도가 증가하는데 임산부에게 거대아 출산을 유발하는 '임신성 당뇨'가 있을 경우에도 자주 발생한다. 출산 시 아기에게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다른 부분 중 하나인 '신생아 쇄골골절'은 전체 분만의 0.3~1....2025.04.28
-
임신성고혈압 및 당뇨 모성 케이스 분석2025.05.021. 임신성 고혈압 및 당뇨 모성 케이스 분석 1.1. 임신성 고혈압 1.1.1. 혈관수축과 관련된 비효율적 말초조직 관류 임신성 고혈압에서 나타나는 혈관수축과 관련된 비효율적 말초조직 관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는 고혈압 상태로,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임신성 고혈압은 자간전증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혈관수축으로 인해 말초조직의 관류가 저하되어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고혈압으로 인한 혈...2025.05.02
-
임신성 당뇨와 임신성 고혈압의 간호진단2025.05.021. 임신성 고혈압과 임신성 당뇨의 간호진단 1.1. 임신성 당뇨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에 발견되거나 생긴 내당능 이상으로 정의된다. 대부분 증상은 없으며 산전 검사를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목표 혈당은 공복 시 95mg/dL 미만, 식후 1시간 140mg/dL 미만, 식후 2시간 120mg/dL 미만이다. 전문 영양사와 영양상담 후 식사요법을 시행하며, 식사요법만으로 혈당조절이 되지 않으면 인슐린을 투여한다. 경구 혈당 강하제는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산전 진단은 하루 1회 같은 시간에 혈당 체크와 당뇨 검사를 통해 ...2025.05.02
-
양수과다증케이스2025.08.131. 서론 양수과다증(Hydramnios)은 임신 중 양수의 양이 과도하게 많은 상태를 말한다. 임신부의 약 3%에서 발생하며, 경산부에서 발생률이 더 높다. 양수과다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태아, 산모, 태반 등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태아의 장폐쇄, 식도폐쇄 등의 기형, 산모의 당뇨병, 태반의 기능 이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양수는 태아의 배뇨와 호흡, 연하 운동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러한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양수과다증이 발생한다. 양수과다증은 자궁 팽대, 호흡 곤란, 부종 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나며,...2025.08.13
-
고위험산모 분만간호Case study2024.09.061. 고위험 산모 1.1. 고위험 임신 진단 고위험 임신 진단은 정상 임신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 산모의 나이나 생활 습관, 유전 질환 및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대부분 고위험 임신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경우에 해당하는 산모를 고위험 산모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산모의 나이가 35세 이상이거나 18세 이하인 경우이다. 이는 산모의 나이에 따라 임신 및 출산에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둘째, 임신 전부터 고혈압, 당뇨병, 심장 질환, 신장 질환, 갑상선 질환 등 만성 질환이...202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