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9개
-
Julia Morales part22024.09.101. 대상자 소개 1.1. Julia Morales와 Lucy Grey Julia Morales는 65세 여성으로, 4기 폐암 환자이다. 약 3개월 전 치료를 중단하고 이후부터 파트너인 73세 Lucy Grey와 함께 집에서 생활하며 관리를 받고 있다. Julia의 호흡은 분당 8회, 산소포화도는 60%로 측정되었으며 피부에 부착된 펜타닐 패치로 통증 관리를 하고 있다. Julia의 아들 Neil도 이 상황을 인지하고 있다. Lucy Grey는 Julia의 파트너로, 25년 전 만나 함께 살아온 아내이다. 몇 년 전부터 체중 및...2024.09.10
-
물리치료사 근골격계 중재학2024.09.081. 작업치료의 개요 1.1. 작업치료의 정의 작업치료는 개인으로 하여금 삶에 있어서 모든 부분에서 자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돕는 숙련된 치료 방법이다. 사람들에게 삶을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쳐 줌으로써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작업치료는 보건 전문직의 하나로 자신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Occupied) 일상생활활동(ADL)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그 대상으로 한다. 일상생활활동이라 함은 기본적인 먹기, 목욕하기, 옷 입기 등에서 시작하여 직장과 같이 사회에서 구성원으로써 생산적인 역할을 담...2024.09.08
-
사조사 작업형2025.04.211. 서론 정신 건강 분야에서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은 환자의 전인적 치료와 회복을 위해 필수적이다. 각 전문가들은 자신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환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며, 이러한 협력은 환자에게 보다 종합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정신과 의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정신건강간호사와 같은 전문가들은 각기 다른 역할을 담당하며, 이들의 협력은 환자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정신 건강 분야에서의 협력은 환자의 치료와 회복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작업치료의 정의 작업치료는 개인으로...2025.04.21
-
노인 자존감 저하2025.05.061. 사정 1.1. 노쇠 정도 노쇠 선별검사 항목에 따르면 대상자의 노쇠 정도는 전노쇠 수준이다. 대상자는 최근 4주간 심한 피로감을 자주 느끼고, 혼자서 10계단을 오르기 어려워하며, 100미터 걷기가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대상자는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등 5개 이상의 만성 복합 질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대상자의 노쇠 정도는 전노쇠 수준이다. [1] 1.2. 건강력 1.2.1. 건강력 대상자는 만 87세의 여성이다.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요실금, 녹내장, 골다공증 등의 신체적 질환을 앓고...2025.05.06
-
노인 상지하지2025.07.011. 서론 1.1.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 뇌졸중 발병 후 환자의 대부분은 상지 기능의 장애를 겪게 되며, 이는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큰 어려움을 야기한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은 재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뇌졸중은 주로 중대뇌동맥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상지 기능이 더 많이 손상을 입게 된다. 상지 기능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 회복뿐만 아니라 손의 미세 기능 회복도 필요하다. 환자의 자발적인 상지 사용이 부족하고 건측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초기에는 정확하지 않...2025.07.01
-
작업치료 soap 노트2025.07.111. 서론 1.1. 작업치료 SOAP 노트의 이해 작업치료 SOAP 노트는 작업치료사가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며 진행 과정을 기록하는 체계적인 방법이다. SOAP 노트의 각 항목은 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을 의미한다. Subjective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과 불편감, 삶의 질, 치료 목표 등 주관적인 정보를 담는다. 환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제와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Objective는 작업치료사가 관찰하고 측정한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적 상태에 ...2025.07.11
-
신체기동성장애2024.10.011.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 1.1. 간호 진단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Impaired Physical Mobility)는 NANDA 간호진단 정의에 따르면 "신체 또는 한 개 이상의 사지에서 독립적이고 목적이 있는 신체적 움직임의 제한"을 의미한다. 이는 대상자의 움직임 능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대상자의 경우 뇌경색으로 인한 우측 편마비로 인해 오른쪽 사지의 능동적 움직임이 전무하고, 보행 시 균형 유지가 어려우며 왼손 사용에도 어려움을 보이는 등 전반적인 신체기...2024.10.01
-
87세 신체마비와 관련된 기동성장애2024.09.081. 노인간호학 뇌경색 사례 1.1. 건강 사정 1.1.1. 주관적 자료 "오른쪽이 잘 안 움직여져요." 대상자는 우측 편마비로 인해 오른쪽 팔다리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는다고 호소하였다. "아무리해도 젓가락질은 힘든 것 같아요." 대상자는 우측 편마비로 인해 오른손으로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고 진술하였다. 1.1.2. 객관적 자료 과거력 : 20xx년 뇌경색, 우측 편마비, 연하곤란이 있었다고 하였다. 편측마비로 인한 불편감과 변비, 삼킴장애가 심해져 병원에 입원한 상태이다. 거의 침상에 누워만 있는 상태로 관찰되었다....2024.09.08
-
노인의 심혈관계, 호흡기계, 피부계, 생식계, 비뇨기계, 위장관계, 근골격계, 신경계, 감각계 변화에 따른 간호2024.10.071. 노화에 따른 신체기관별 변화 1.1. 피부계 피부계는 노화에 따라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난다. 표피의 경우 탄력섬유의 감소와 피부층이 얇아지면서 주름이 생긴다. 피부가 건조해져 마찰이나 감염과 같은 피부 손상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또한 피부 손상 시 회복 속도가 지연되고 피부재생이 잘 되지 않는다. 햇빛에 대한 민감도는 증가하지만 비타민 D 합성 능력은 저하된다. 노인성 반점, 검버섯 등의 색소침착 증가도 나타난다. 진피 및 피하층의 경우 엘라스틴과 콜라겐 섬유가 감소하여 피부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생긴다. 진피층의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