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사무장병원2025.05.091. 사무장병원 개요 1.1. 사무장병원의 정의 사무장병원이란 의료법상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의료인을 고용하여 의료인 또는 비영리법인 등의 명의로 개설, 운영하는 의료기관이다. 의료법은 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을 금지한 이유가 건전한 의료질서를 확립하고 국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사무장병원의 경우 영리 추구를 위해 과다 진료, 항생제 오용 및 남용, 보험사기 연루, 환자 알선 등의 폐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점에서 사무장병원을 불법의료기관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다. 1.2. 사무장병원의 유형 비의...2025.05.09
-
제주대학교 영아 사망2024.09.301. 제주대학교병원 영아 의료사고 사망 사건 1.1. 사례 개요 작년 3월 13개월이었던 강유림 양은 코로나19 치료를 받기 위해 제주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다. 담당 의사는 유림 양의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에피네프린 5mg을 네뷸라이저를 통해 투약하라고 처방하였다. 그러나 간호사는 이 약물을 정맥주사로 투여하였는데, 에피네프린은 성인에게도 정맥으로 주사할 경우 위험할 정도로 강력한 약물이다. 특히 유림 양의 체중이 11kg인 것을 고려할 때 기준치의 50배에 달하는 과다 투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유림 양의 상태가...2024.09.30
-
간호사가 의료법을 위반한 사례 기사와 문제점, 판례, 해결방안2024.10.061. 간호사의 보건의약 관계법규 위반사례 1.1. 수술실에서 의사의 업무를 수행한 간호사 1.1.1. 위반사례 수술실에서 의사의 업무를 수행한 간호사의 위반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립대병원에서 간호사가 의사의 도움 없이 직접 수술 봉합을 하는 사례가 확인되었다. 이는 의료법 제27조 무면허 의료행위 등 금지 조항을 위반한 것으로, 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료인이지만 자신의 면허 범위를 벗어나 의사의 고유 업무를 수행한 것이다. 의료법 제2조 의료인에는 간호사가 포함되지만, 제5항에 따르면 간호사의 임무는 "상...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