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6개
-
접촉격리질환2025.05.271. 접촉격리질환 접촉격리질환은 병원체가 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 또는 환자의 주변 환경에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질환이다. 대표적인 접촉격리질환에는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 간염, 옴, Clostridium difficile, 로타바이러스,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목(CRE),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등이 있다. 이러한 접촉격리질환의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환자의 피부, 혈액, 배설물, 주변 환경 등과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한다. 병실 출입 시 반드...2025.05.27
-
Day번 업무2025.04.111. 병동 특성 파악 1.1. 실습 병동 개요 963 병동은 정형외과와 류마티스 내과 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병동이다. 2021년 4월 5일 기준으로 환자 수는 총 32명이며, 남자 환자가 20명, 여자 환자가 12명이다. 전체 병상 수는 40개이며, 병상 가동률은 80%이다. 환자들의 연령층은 10대부터 80대까지 다양하며, 6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병상 구성은 특실 1개, 1인실 1개, 2인실 2개, 4인실 4개, 6인실 3개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진단명으로는 화농성 관절염, 대퇴골 골절, 상세불명의 류마티스 등이...2025.04.11
-
의료관련 감염2025.04.221. 서론 1.1. 의료관련 감염의 정의 및 필요성 병원감염(nosocomial infection, hospital-acquired infection)이란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 혹은 외과 수술환자의 경우 퇴원 후 30일 이내에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환자뿐만 아니라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직원들의 감염도 포함한다. 병원감염은 내인성(endogenous) 감염과 외인성(exogenous) 감염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2025.04.22
-
손씻기 qi2025.04.25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손 위생의 중요성 올바른 손 씻기는 질병의 약 70%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신종 인플루엔자와 같은 접촉성 전염병과 MRSA감염, VRE감염 등의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6단계의 방법으로 40초 이상의 시간동안 손을 씻도록 권고하고 있다. 창원경상대학병원 내의 감염관리실에서도 미생물의 주된 전파원인 손을 통한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 위생 수행 관련 감염관리지침을 개발하여 직원뿐 아니라 보호자, 환자에게 배포하여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병원감염의 발...2025.04.25
-
옆구리 통증의 문헌고찰과 출처2025.08.111. 서론 1.1. 요로감염의 정의 및 현황 요로감염은 비뇨기계의 일부에 세균이 감염된 것을 말한다. 요로감염은 전체 의료관련 감염의 40%를 차지하며, 입원환자에게 자주 발생한다. 요로감염은 대개 요도의 세균오염, 도뇨 또는 방광경 검사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요로감염 중에서도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도뇨관 사용은 방어기전을 손상시켜 의료관련 감염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요로감염과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의 발생 현황과 관리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1.2. 도뇨관 관련 요로감...2025.08.11
-
폐렴 중환자실 실습케이스 만들어줘2025.08.24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폐렴은 호흡기 내과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감염질환 중 하나로, 치료가 많이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망률이 높고 합병증 또한 다양한 질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렴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 합병증 등을 자세히 공부하고, 선정한 사례를 통해 간호문제를 발견하고 이에 맞는 간호진단을 내려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수립함으로써 폐렴 환자에게 보다 나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폐렴의 정의와 중요성 폐렴은 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2025.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