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
-
특수검진2025.03.191. 서론 1.1. 특수직건강검진 개요 특수건강검진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에 의거하여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업병 조기 발견 및 예방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건강검진이다. 특수건강검진은 배치 전 건강검진, 정기 건강검진, 수시 건강검진, 임시 건강검진 등으로 구분되며 대상 유해인자에 따라 검진 주기와 항목이 정해져 있다.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는 총 177종으로 화학적 인자, 금속류, 산 및 알카리류, 가스 상태 물질류, 광물성 분진, 물리적 인자 등이 포함된다. 특수건강검진을 통해 특수직 종...2025.03.19
-
작업환경관리2024.11.111. 작업환경 관리 1.1. 작업환경 관리의 목적 작업환경 관리의 목적은 작업장에서 발생되고 있는 유해인자(소음, 분진, 유해화학물질 등)에 근로자가 얼마나 노출되는지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유해한 작업장의 시설을 개선함으로써 깨끗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실시한다"이다. 작업환경 관리를 통해 작업능률 향상, 근로자 신뢰감 및 사기 증대, 근로자 재해 발생 및 손상 감소, 산업재해나 질병으로 인한 결근자 감소로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쟁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산업공해 문제의...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