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개
-
중환자실2024.10.131. 서론 1.1. 의료기술 발전과 병원내 감염 의학 발전으로 다양한 약제 개발 및 의료기구의 발전으로 인간 생명의 연장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다양한 소독제가 사용되며, 장갑과 가운 등 보호 장구의 착용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수명 연장에 따라 취약한 고령 인구의 증가, 각종 침습적인 의료 처치, 항균제 남용 등으로 인해 내성균이 발생하며, 만성 질환자의 증가, 항암제 및 면역 억제제 사용으로 인한 면역 부전 환자의 증가에 따라 병원 내 감염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환자실 환자에게 발생한 감염은 재원 기간의...2024.10.13
-
배변 간호중재2024.10.011. 배뇨 및 배변 관련 간호문제와 중재 1.1.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관리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는 환자에게서 검사물을 채취할 때에는 도뇨관과 배액관을 분리하지 않고 멸균 주사기로 소변을 수집해야 한다. 이는 검사물의 오염이나 환자가 손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소변수집 주머니의 검사물 채취용 포트를 소독솜으로 닦거나 포트가 없을 때에는 도뇨관 끝부분을 닦아야 한다. 감염 예방을 위해 유치도뇨관 삽입 후 폐쇄적 배액체계를 유지하고, 도뇨관과 튜브는 절대...2024.10.01
-
외래QI2024.10.171. 국립암센터 부서 소개 1.1. 중앙공급실 중앙공급실은 각종 의료물품 및 기구로 인한 감염의 확산을 방지하고 감염의 위험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멸균기를 이용하여 각종 물품 및 기구의 특수성에 따른 적합한 멸균 방법으로 멸균 및 관리 업무를 담당하며, 편의와 실용성으로 환자 및 직원이 필요로 하는 린넨을 적시에 적량 공급하여 환자진료와 간호에 기여하고 있다"감염관리실은 환자 및 직원의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전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감염감시 및 감염예방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법정전염병에 대한 예방조치 및 관리를 수행하...2024.10.17
-
소변줄 관리2024.09.181. 소변백 관리를 통한 요로감염 예방 1.1. 주제선정 소변백 관리를 통한 요로감염 예방의 주제선정은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이 입원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의료 관련 감염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는 환자의 경우 세균뇨가 발생할 위험은 매일 3%~10% 정도 증가하고, 30일 이후에는 100%에 이른다. 이는 요로감염 발생 시 유병률, 입원 기간 및 의료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내성균 전파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2024.09.18
-
요로감염-소변백 관리하는 방법2025.04.211. 요로감염 관리 1.1. 요로감염 발생 현황 요로감염은 입원한 성인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의료 관련 감염이다.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는 경우 세균뇨가 발생할 위험은 매일 3%~10% 정도 증가하며, 30일 이후에는 100%에 이른다. 유치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 시 유병률, 입원 기간 및 의료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과 다제내성균 전파의 위험이 있다. 00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평균 재원 일수는 약 11.7일로, 수술 후 거동의 불편함으로 인해 유치 도뇨관을 적용하고 있다. 000병원 00병동 내...2025.04.21
-
간호연구 방법론 문제2025.04.2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간호연구 방법론 문제 연구의 필요성이다. 자궁탈출증은 가임기 여성의 배란 과정 중에 흔히 발생하고 평균적으로 난소낭종의 1%가 난소암으로 발전되기도 하여 위험한 질환이다. 또한 이 질병은 사람들에게 생소한 편이므로 이에 대해 학습하고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자궁탈출증이란 자궁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면서 자궁의 일부 혹은 전체가 질을 통해 탈출하는 것이다. 이는 자궁을 지지해 주는 인대의 접착부인 질상부의 지지가 좋지 않아 발생하며, 주요 원인은 자연분만이다. 그 밖에도 무거운 물건 들기, 비...2025.04.20
-
유치도뇨관 연구 추세 및 간호방법론2025.05.151. 서론 1.1.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CAUTI)의 이해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은 입원한 성인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감염으로 전체 의료관련감염의 30~40%를 차지하고, 1~10%의 발생률을 보인다. 특히 중환자실에서의 요로감염의 발생률은 8~12%로 높다. 병원에서 발생하는 요로감염의 95% 이상은 유치도뇨관(Indwelling urinary catheter)과 관련이 있다. 유치도뇨관을 삽입하는 경우 세균뇨가 발생할 위험은 매일 3~10% 정도 증가하고, 30일 이후에는 ...2025.05.15
-
기본간호학 유치도뇨관 연구 추세 및 간호 방법론2025.05.1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유치도뇨관 관리의 필요성 의료 관련 감염은 기관지 내관,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 등을 이용한 침습적 의료처치뿐만 아니라 감염에 취약한 노인, 만성질환자 및 면역력 저하 환자 증가,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유치도뇨관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침습적 카테터 사용은 방어기전의 손상을 야기하여 의료 관련 감염을 증가시킨다.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은 전체 의료 관련 감염의 4...2025.05.15
-
기본간호학 유치도뇨관 연구 추세 국내외논문2025.05.151. 개요 1.1. 도뇨에 대하여 도뇨는 소변을 제거하기 위해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도뇨관을 삽입하는 것이다. 도뇨는 저항력이 약한 대상자에게 방광으로 미생물을 전파시킬 위험이 있고, 방광 내로 균이 유입되면 요관으로 상행해 신장을 감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뇨는 꼭 필요할 때만 적용하며 도뇨관 삽입 시 엄격한 무균술을 적용한다. 도뇨에는 일회용 도뇨관으로 방광 내의 소변을 제거하기 위해 삽입하는 간헐적 단순 도뇨와, 일정 기간 동안의 도뇨를 위해 도뇨관을 방광 내에 고정시키는 유치 도뇨가 있다. 간헐적 도뇨관은 일회용 카테터라...2025.05.15
-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률2025.06.121. 서론 1.1.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의 개념과 중요성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요도구, 요관, 방광, 신장을 포함한 요로계에 세균이나 진균이 침범하여 발생한 감염을 말한다.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방광염, 신우신염, 심내막염, 패혈증, 뇌수막염 또는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의료관련 감염으로, 미국에서는 연간 약 500만 명의 환자가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으며, 국내 중환자실에서는 재원 환자의 84%가 유치도뇨관을 유지하고 있다. 유치도뇨관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