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임상병리 혈액학2025.04.111. 서론 1.1. 임상병리학의 정의 및 목적 임상병리학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 예후 판정을 위해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등의 검체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의학의 한 분야이다. 임상병리학자는 이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며, 임상병리사는 이러한 검사 업무를 실시하는 전문인이다. 임상병리학의 주요 목적은 전단 및 감별 진단, 질병의 중증도 및 경과 판단을 통한 치료 결정, 예후 판정, 건강검진 및 선별검사를 통한 질병 발견 및 예방, 그리고 치료 효과의 추적관찰에 도움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임상병리학은 ...2025.04.11
-
미생물 세균학2025.04.091. 미생물 세균학 1.1. 세균의 형태와 분류 세균은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세균은 알균, 막대균, 나선균, 그리고 다형태균으로 분류된다. 알균은 전체적인 모양이 구형 또는 거의 구형에 가까운 세균이다. 막대균은 막대 모양의 세균이며, 다형태세균은 형태학적으로 독특하거나 환경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세균 종이다. 비브리오는 굽은 형태거나 콤마 모양의 막대균이며, 여러 종이 사람의 위장관염, 식중독, 패혈증과 관련된 병원체이다. 스피릴룸은 두껍고 견고한 나선형의 세균이며 드물지만 설치류...2025.04.09
-
판스워스 교수의 생물학 강의2025.07.101. 들어가며 1.1. 판스워스 교수의 생물학 강의 개요 생물학 강의를 진행하는 판스워스 교수는 학생들에게 생명현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그는 단순히 생물의 구성 요소나 생명체의 정의에 대해 설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생명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접근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생물학에서는 생명의 본질적인 특징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초 물질, 생명체의 에너지 대사 과정, 유전 물질과 정보의 복제 및 발현, 세포 분열과 유전, 유전 변이와 진화, 생명체의 항상성 유지, 생물의 다양성과 상호작용 등 다양한 주제를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