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유교 2500년의 여행 감상문 다큐멘터리2024.11.011. 유교, 2500년의 여정 1.1. 인(仁): 사랑의 여정 유교에서 공자가 말하는 정직은 어떤 정도 이해도 없이 솔직하기만 한 언행이 아닌 아버지가 자식을 , 자식이 아버지를 사랑하는 것 가운데 있었다. 현대적인 시각에서 이것이 완전히 옳지는 않다고 생각하지만 성문화된 법과 인륜 사이에서 갈등할 여지는 충분히 있다. 유교에서는 효와 충을 중시하고 때때로 이것은 다른 도덕적 가치, 자신의 이익과 충돌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대 사회에서 오로지 울고 애도하는 것 말고 다른 경제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3년상은 분명 인간적으로 칭...2024.11.01
-
공자2024.10.041. 공자와 그의 사상 1.1. 공자의 생애 공자는 BC 551년 춘추시대 노나라(魯國)에서 태어났다. 본래 이름은 공구(孔丘)였고, 공자라는 칭호는 그의 제자들이 그를 존경하여 붙인 것이다. 3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기 때문에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하였다. 그러나 공자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몰두하여 19세에 결혼하였고, 37세에는 주나라 수도로 가서 노자를 만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50세에 관직에 올랐지만 정치적으로 그리 성공적이지 못하여 부득이하게 여러 나라를 유랑하게 되었다. 공자는 제자들과 함께 14년간...2024.10.04
-
맹자를 제외한 성선설 근거2024.10.021. 서론 좋은 보고서를 쓰기 위해 교수님이 싫어할 만한 글을 쓰고자 하는 저자의 의도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저자는 강의를 들으며 논박하고 싶었던 점과 다른 의견들을 기술하며 '순자'에 대해 풀어 쓸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글을 쓰는 과정에서 '남이 싫어하는 글'이 어째서 훌륭한 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자에 따르면, '남이 싫어하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요점 파악과 문제점 포착이 중요하지만, 이를 위해 책과 논문을 탐독하고 자신의 생각을 결합시켜 비판적 글쓰기를 한다는 것이...2024.10.02
-
성악설2024.11.241. 순자의 예와 성악설 1.1. 예란 무엇이고 왜 강조했을까? 우선 예란 고대 성왕(聖王)이 인위적으로 제정한 외면적 규범과 재화를 공정하게 배분하기 위한 사회적 규범이며 본질은 예를 제작하는 객관적 원칙인 의에 있다"" 예(禮)는 처음에는 제사와 관련된 숭배의식을 표현하기 위한 글자였다"" 그러나 차츰 예(禮)는 인간사회의 생활규범까지 포괄하게 되었는데, 순자가 중국사상사에서 예를 인간사회의 최고 가치규범으로 정의했다"" 그렇다면 순자가 왜 예를 강조했을까? 우리는 순자가 왜 예를 강조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악설의 개념...2024.11.24
-
성악설2024.10.161. 서론 서론에서는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오해에 대해 설명한다. 순자의 성악설은 많은 이들에게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라는 단순한 해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이는 순자의 성악설을 표면적으로만 이해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순자가 말한 '성(性)'과 '악(惡)'의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순자의 성악설을 단순히 기존의 해석과 같이 이해한다면 순자가 주장한 '교육론', '예론(禮論)' 등과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순자의 성악설을...2024.10.16
-
나의 성악설 서론2024.10.081.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1.1. 성선설과 성악설의 대립 1.1.1.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의 대표적 학자이다. 맹자는 인간에게는 선천적으로 "남에게 차마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不忍人之心)"이 내재되어 있다고 말한다. 이는 어린 아이가 우물에 빠진 다른 아이를 보고 깜짝 놀라며 측은한 마음을 갖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음은 보상을 받기 위해서나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순수하게 다른 사람에 대한 측은함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맹자는 이러한 선한 본성이 인간...2024.10.08
-
논어2024.09.141. 논어 소개 1.1. 논어의 정의와 특징 논어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나눈 대화를 모아놓은 책으로, 동양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대표적인 고전이다. 논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논어는 간략한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그 내용과 의미는 매우 깊이가 있다. 공자의 사상과 교훈이 압축적으로 담겨있어 이를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성찰이 필요하다. 특히 공자의 핵심사상인 "인", "예", "충서" 등의 개념은 단순히 외형적인 행동이 아닌 내면의 도덕성과 수양을 강조하고 있어 그 의미가 매우 깊다. 둘...2024.09.14
-
동양고전 독후감 작성 가이드2025.04.081. 순자와 『순자』 1.1. 순자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순자는 기원전 298년경부터 기원전 238년경까지 활동한 인물이다. 그의 본명은 순황(荀況)이며, 전국시대 말기에 활동했던 인물이다. 15세 때 제나라에서 '삼도좨주'라는 높은 지위를 세 차례 역임했는데, 이는 현대적으로 보면 대학 총장 또는 연구 책임자에 해당하는 자리이다. 이후 모함을 받아 물러나게 되었고 초나라로 떠나 춘신군의 도움을 받아 난릉 지역에서 도지사와 같은 역할인 '영'의 직책에 올랐다. 춘신군의 별세로 인해 직책에서 내려온 순자는 이후 학문과 저술 활동에 ...2025.04.08
-
논어감상문2025.04.261. 소개 서론 본 독후감은 공자의 유명한 저작 『논어』에 대한 감상문이다. 『논어』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공자의 사상과 가르침을 전해주는 중요한 텍스트이다. 이 책은 중국 전통 사상의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동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주요 문헌 중 하나이다. 『논어』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학이편'으로, 배움과 인격 수양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두 번째 부분은 '위정편'으로, 정치와 통치에 관한 공자의 견해를 담고 있다. 마지막 부분은 '요왈편'으로, 공자의 다양한 언행을 기록...2025.04.26
-
유교가 동아시아 문화권에 미친 영향2025.04.281. 서론 1.1. 유교문화가 동아시아 문화권에 미친 영향 유교문화는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사회 전반에 걸쳐 오랜 역사를 통해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유교문화의 핵심 가치인 관계 중시, 가족주의, 집단주의 정신은 동아시아인들의 생활 양식과 사회적 관행에 깊이 뿌리박혀 있다. 특히 중국의 '관시(關係)', 한국의 가족주의, 일본의 집단주의는 유교문화에 기반한 전통적인 동아시아인의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 유교문화에서는 개인보다는 집단과 관계를 우선시하며, 예(禮)를 통한 원활한 인간관계 유지를 강조한다. 이는 동아시아...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