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K급 화재 소화2024.09.301. 화재의 정의와 분류 1.1. 화재의 정의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발생, 확대되는 것 또는 방화로 발생하여 소화를 필요로 하는 연소현상을 말한다. 이 중 '사람의 의도에 반한다.'는 것은 과실(실화, 자연발화 등)을, '고의에 의한다.'는 것은 방화를 의미한다. 또한, 소화할 때는 소화시설 또는 이와 같은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을 이용해야 하는 것, 자산가치의 손실이 없고 자연 소화될 것이 확실하여 소화할 필요가 없거나 소화의 필요성이 있다 하더라도 소화시설이나 소화 장비 또는 간이소화 용구 등을 활용하여 진화할 필요가 ...2024.09.30
-
전기화재.폭발의예방대책2025.04.101. 전기화재 및 폭발의 예방대책 1.1. 연소의 개요, 형태 및 생성물 연소는 가연물이 공기 중의 산소나 산화제와 반응해 열, 빛을 내면서 산화하는 현상이다. 연소는 완전연소와 불완전연소로 구분할 수 있다. 완전연소는 연소된 뒤 가연성분이 전혀 남지 않은 상태이며, 불완전연소 상태에서는 CO나 H2, C처럼 더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가연성 성분이 남아 있다. 연소는 연소의 형태에 따라서도 구분할 수 있는데, 가연성 기체를 이용한 기체연소, 액체로 인해 연소가 일어나는 증발연소, 고체로 인해 촉발되는 표면연소, 증발연소, 분해연...2025.04.10
-
실내화재 전실화재 단계 구분 및 설명2024.11.101. 실내화재의 성상 1.1. 화재의 개념 화재는 연소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연소란 가연물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열과 빛을 수반하는 산화 작용을 말한다. 즉, 화재는 사람의 과실이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 설비를 사용하여 불을 끄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화재의 단계에 따라 소화 및 진압 방법이 달라진다. 화재의 단계는 크게 초기화재, 화염발생 단계, 최대 열방출 단계, 열 소멸 단계로 구분된다. 초기화재 단계에서는 연소가 발생하지만 아직 화염이 크지 않기 때문...2024.11.10
-
위험물기능사2025.08.181. 서론 위험물의 유출이나 화재 발생은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중대한 사고이다. 이를 예방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위험물의 특성과 화재예방 및 소화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위험물기능사 자격시험은 이러한 위험물 관리와 소화 대응 능력을 평가하는데, 이는 위험물 취급 및 관리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위험물기능사 자격시험 대비를 위해 위험물의 종류와 특성, 위험물의 화재예방과 소화방법, 소화설비의 종류와 관리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위험물기능사 개...2025.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