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0개
-
간호약리학2025.04.081. 간호약리학 개요 1.1. 약물의 정의 및 분류 약물은 생명체의 생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이다. 약물명에는 화학명, 일반명, 상품명이 있다. 화학명은 약물의 화학조성과 분자구조를 설명하고, 일반명은 화학명보다 짧고 간결하며 공식약전에 사용된다. 상품명은 등록상표로 제약회사가 붙이는 이름이다. 제약학, 약동학, 약력학은 약리학의 3가지 기초분야이다. 제약학은 제형이 약물의 대사 및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약동학은 신체에 대한 약물의 작용을, 약력학은 약물에 대한 신체의 작용을 다룬다. 1.2. 약물명의 종류 약물명의 종류...2025.04.08
-
양극성장애 case2025.03.161. 서론 1.1. 양극성장애 case 소개 이00은 25세 여성으로 2015년부터 정신과 진료를 시작하였다. 지적장애 3급 진단을 받았으며, 분노조절이 어려워 친구들과 자주 싸우고 주먹으로 벽을 치거나 자해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복적인 입원치료를 받았는데, 퇴원 후에는 증상이 다시 악화되어 3-4개월 또는 6-7개월 간격으로 입퇴원을 반복하였다. 2021년 6월에 퇴원 후 초기에는 외래치료를 잘 받았으나 2022년 10월경부터 외래 방문을 중단하였다. 2022년 11월 17일경부터 아는 언니를 만나고 계속 욕설을 하며 ...2025.03.16
-
기본간호학 투약오류2025.04.171. 기본간호학 투약오류 1.1. 투약오류의 정의 및 유형 투약오류란 환자에게 위해사건이 일어나던지, 일어나지 않던지 간에 약이 처방된 후 환자에게 전달되는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일반적으로 투약은 의사의 처방에 의해 시작되고, 약사의 조제 후 간호사는 환자에게 마지막 단계에서 안전한 투약을 위해 정확한 약물, 정확한 양, 정확한 투여경로, 정확한 환자, 정확한 시간을 포함한 5rights 원칙을 지켜야 한다. 투약오류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미국의 USP의 MedMARx라는 자발적 보고시스템은 184개 의료시설에 ...2025.04.17
-
기본간호학 투약오류2025.04.171. 기본간호학 투약오류 1.1. 투약오류 1.1.1. 투약오류란 투약오류란은 의료인의 관리 하에 있는 대상자에게 적절하지 않거나 해가 되는 약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처방이 부정확하거나 엉뚱한 사람에게 엉뚱한 약을 투여하거나, 잘못된 양과 잘못된 방법으로 잘못된 시간에 투여하거나, 투여해야 할 약을 투여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투약은 의사의 처방에 의해 시작되고, 약사의 조제 후 간호사는 환자에게 마지막 단계에서 안전한 투약을 위해 정확한 약물, 정확한 양, 정확한 투여경로, 정확한 환자, 정확한 시간을 포함...2025.04.17
-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2025.04.191. 서론 1.1. 정신간호학실습 사례 소개 17세 남자 대학생 박○○ 씨는 정신과 외래를 통해 본원에 처음 입원하였다. 약 1년 전부터 술을 거의 매일 마시고 있으며 한 번 마실 때 소주 2~5병씩 폭음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을 구하지 못하면 도둑질을 해서라도 음주를 하는 등의 문제 행동을 보였다. 또한 학교에서 친구들을 때리고 괴롭히며 집중력 저하와 산만함으로 인한 학교생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박씨는 ADHD와 경도 정신지체 진단을 받은 과거력이 있었다. 입원 전 약 1년 간 술을 거의 매일 마시며 소주 2~5병씩 폭...2025.04.19
-
폐렴 간호진단2025.05.041. 폐렴 환자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1. 호흡기능의 저하 폐렴 환자는 기침, 호흡곤란, 산소포화도 저하 등으로 인해 호흡기능이 저하되는 상태이다. 환자는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숨쉬기가 힘들고 가슴이 답답하다고 한다. 또한 기침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가래가 섞여 나오는 증상을 보인다. 환자의 호흡수는 분당 24회로 증가되어 있으며, 산소포화도는 90% 이하로 낮아져 있다. 양측 폐에서 비정상적인 거품음이 들리며, 기침 시 가래가 섞인 분비물이 나온다. 또한 환자의 피부는 창백하고 체온은 38.2도로 상승해 있다. 이러한 ...2025.05.04
-
시뮬레이션 결핵환자2025.05.281. 서론 1.1. 결핵 환자 간호의 필요성 결핵 환자 간호의 필요성이다. 결핵은 매우 전염성이 강한 질병이므로 결핵 환자에 대한 적절한 간호가 필수적이다. 특히 결핵 환자의 경우 면역력이 저하되어 다른 감염에 취약할 수 있어 환자 관리와 감염 예방이 중요하다. 또한 결핵 환자의 증상 관리와 치료 과정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회복과 합병증 예방, 전염 차단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핵 환자 간호는 질병 치료와 관리, 감염 예방의 관점에서 반드시 요구된다. 1.2. 시뮬레이션 기...2025.05.28
-
조현양상장애 간호과정 정신과실습2025.07.211. 조현양상장애 간호과정 1.1. 간호사정 1.1.1. 일반적 정보 성별/나이 M/62 결혼 상태 - 학력 초졸 직업 무직 종교 무 경제 상태 하 월평균수입 - 한달 용돈 - 동거인수입 - 월평균의료비 - 주거 형태 - 의료 보장 건강보험 정보제공자 EMR, 형 입원 횟수 과거 OO병원 입원 경험O, 횟수 알 수 없음 입원 동기 OO 마을 회관을 망치로 부수는 행동하여 112신고되어 경찰 동행하여 응급의뢰서 가지고 ER내원(응급입원)으로 OO병동 입원함. 1.1.2. 현재 병력 대상자는 조현병이 진단된 환자이며, 현재 환시, ...2025.07.21
-
조현정동장애2025.08.051. 간호사정 1.1.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별은 M이며 나이는 51세이다. 결혼상태는 미혼이며 가족형태는 어머니, 아버지, 남동생, 여동생, 그리고 본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정도는 대학교 중퇴(전북대 경영학과)이며 직업은 무직이다. 종교는 없으며 취미는 게임과 노래이다. [] 1.2. 건강력 1.2.1. 현병력 입원당시의 주 증상 및 주 호소는 "우울하고 무기력하고 몸이 축 쳐지는 느낌이 너무 심했다"이다. 군 제대 후 스스로 정신이 이상하다고 느껴 부모님에게 직접 병원에 가자고 권유했다. 현재 주 호...2025.08.05
-
정신간호과정 45개 간호진단 모음2024.09.201. 수면장애 1.1. 약물부작용과 관련된 수면장애 약물부작용과 관련된 수면장애는 투여된 약물로 인해 발생하는 수면 문제를 의미한다.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수면장애는 수면 유도와 유지의 어려움, 수면의 질 저하 등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약물들이 수면장애 유발 요인이 될 수 있는데, 특히 정신과 약물과 신경계 약물이 대표적이다. 정신과 약물 중에서는 항정신병약물, 항우울제, 기분 안정제 등이 주된 원인이 된다. 이러한 약물들은 진정, 진정-수면 유도, 수면 유지 등의 기전으로 수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클로르프...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