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신생아 호흡기계 사정과 신생아 소생술2024.10.071. 신생아의 호흡기계 사정 1.1. 자궁내 호흡 억제 자궁내 호흡 억제는 자궁 환경에서 태아의 호흡이 억제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태아는 자궁 내에서 대부분의 시간 동안 호흡 운동을 하지 않고 있으며, 간혹 있는 호흡 운동도 호흡 억제 기전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이는 자궁 내에서 태아가 필요로 하는 산소를 모체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이다. 태아는 아직 폐 발달이 완전하지 않고 폐혈관 저항이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태아의 호흡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궁 내 태아의 호흡은 주로 간헐적이고 미약한 수준에 그치며, 본...2024.10.07
-
신생아 활력징후 측정2025.04.271. 신생아 활력징후 측정 1.1. 아동 활력징후 측정방법 1.1.1. 호흡 아동의 호흡은 성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대상자가 호흡수를 측정하는 것을 알아차리면 해당 수치에 신뢰도가 하락하므로 맥박을 측정하며 동시에 가슴/배 운동을 관찰하여 흡기&호기의 양상, 깊이, 특성, 리듬을 관찰하며 측정한다. 아동의 호흡이 불규칙할 수 있으므로 정확도를 위하여 1분 동안 호흡수를 측정한다. 아동의 호흡수는 신생아의 경우 30-60회/분 정상 범위이며, 제1반응기 동안(6~8시간) 분당 80회까지 도달할 수 있다. 불규칙...2025.04.27
-
로즈마리 신생아2025.05.2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심각한 저출산 시대이다. 저출산 시대가 지속된다면 국가의 성장 동력이 저하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2022년 출생아 수는 24만 9천 명으로 2021년 대비 1만 1천 5백 명(-4.4%) 감소하였다. 출산율이 낮은 만큼 사람들의 관심도 적은 편이다. 따라서 출산율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로즈마리병원 신생아실에는 고위험신생아, 미숙아가 아닌 정상 신생아들이 많다. 신생아들의 대부분은 정상 신생아이기 때문에 정상 신생아의 간...2025.05.21
-
분만직후 신생아 간호과정2025.05.161. 신생아 간호과정 1.1. 분만직후 신생아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처치 분만직후 신생아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처치이다. 먼저 신생아의 이름표를 확인하고 아기 침대에 이름표를 부착한다. 이후 신체사정을 실시하여 두혈종, 산류 등 이상 여부를 평가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신체계측을 실시한다. 기도 개방을 유지하기 위해 lateral Head down position을 취하고 미리 따뜻하게 준비한 침대에 눕힌 후 옷과 포로 보온을 해준다. 또한 방의 온도는 24-25°C, 습도는 50-60%를 유지한다. 신생아의 신속한 자궁 외 ...2025.05.16
-
신생아 신체사정 및 성장발달 과정2025.05.021. 서론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는 자궁 외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출생과 동시에 신체 구조와 기능이 급격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신생아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징후가 있는지 지속적으로 사정해야 한다. 특히 신생아의 호흡, 순환, 체온유지 등 생명 유지와 직결되는 기능을 사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신생아 신체사정과 정상신생아 간호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자 한다. 2. 신생아 신체사정 2.1. 아프가 점수(Apgar sc...2025.05.02
-
신생아 특성 및 간호 - 출생 직후 생리변화2025.08.281. 서론 신생아는 태어나서 자궁 외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신생아의 특성과 생리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신생아의 정상적이고 비정상적인 특성, 그리고 기타 생리적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신생아 간호 과정의 핵심 내용인 분만 직후 처치와 초기 사정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생아 특성과 간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2. 신생아 특성 및 생리 변화 2.1. 정상적인 특성 2.1.1...2025.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