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3개
-
소아심폐소생술2024.10.031. 소아 심폐소생술의 개요 1.1. 소아 심정지의 특성 소아 심정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에 비해 소아 심정지의 원인이 다양하다. 소아에서는 심실세동에 의한 심정지보다 호흡부전이나 쇼크 등으로 인한 질식성 심정지가 더 흔하다. 즉, 성인과 달리 소아 심정지의 상당수가 예방이 가능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둘째, 소아 심정지 환자의 5~15%에서만 심실세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소아 심정지 환자는 제세동 처치보다는 기본 소생술, 특히 인공호흡이 더욱 중요하다. 셋째, 소아 심정지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2024.10.03
-
수혈학2024.10.221. 수혈간호 1.1. 수혈의 정의 수혈이란 전혈이나 혈장, 적혈구, 혈소판과 같은 혈액 성분을 정맥내로 투여하는 것이다."수혈은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고, 빈혈 환자에게 적혈구 수를 증가시켜 헤모글로빈 수준을 유지시키며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키며, 혈액응고인자, 혈소판, 알부민 등 부족한 혈액성분을 보충하는 목적으로 실시된다." 1.2. 수혈의 목적 수혈의 목적은 질병,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여 혈액이 부족해질 때 인체의 기능과 생명 보존을 위해 혈액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2024.10.22
-
ACLS2024.10.251. 심폐소생술 1.1. 기본 심폐소생술과 전문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이다. 심장마비는 심장의 펌프 기능이 중단된 상태로, 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은 기본 심폐소생술(Basic Life Support, BLS)과 전문 심폐소생술(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로 구분된다. 기본 심폐소생술은 특별한 기구가 없는 상태에서 처음 목격한 사람이 입과 손으로 인공호흡과 흉...2024.10.25
-
생활속의 응급처치2024.10.251.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필요성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정지된 상태에서 흉부 압박, 인공호흡, 심장제세동 등의 과정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뇌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정지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매우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일련의 과정이다. 심정지는 예측하기 어려우며, 특히 가정과 직장 등 의료 시설이 아닌 장소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60-80%에 달하므로 심정지의 첫 목격자는 주로 가족, 동료, 친구 등 평범한 일반인이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5분 경과하면 뇌의 비가역...2024.10.25
-
서울아산병원 간호지침2024.10.141. 서울아산병원 소개 1.1. 병원 개요 서울아산병원은 1989년 6월 개원 이래 끊임없는 연구 개발과 임상 진료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로 세계적 수준의 의료성과를 달성해왔다. 또한 '생명 존중의 정신'과 이웃과 아픔을 함께 하는 '나눔 정신'을 실천함으로써 존경받는 병원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해오고 있다. 최고의 의료 수준과 첨단 의료 장비를 갖추고 선진 외국의 의료와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우리나라의 의료 발전을 이끌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아산사회복지재단 산하 8개 병원의 모 병원이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1977년부터 설립되어...2024.10.14
-
응급처치의 및 심폐소생술 교육의 필요성에2024.12.141. 국내 응급의료체계 1.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1.1.1. 병원 전 단계 병원 전 단계(pre-hospital phase)는 응급환자의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환자의 상태에 따른 구급차 출동, 현장처치, 환자이송 등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한 신고체계, 이송병원 선정을 위한 의료정보 관리체계,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처치체계가 필수적이다. 응급환자 발생 시 먼저 환자발생의 신고(119)와 구급차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심박동의 회복을 위해 심정지가 발생한 초기 몇 분 내에...2024.12.14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 사례 연구 - 심정지2024.12.151. 심정지 환자 간호 1.1. 병태생리 1.1.1. 심정지의 정의와 원인 심정지는 심장의 기능이 순간적으로 정지되는 현상으로,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정지되면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심정지는 주로 50대 이상의 고연령에서 나타나며, 특히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심정지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심실 세동과 수축 부전이 있다. 심실 세동은 심장이 계통적인 수축 없이 불규칙하게 떨리는 상태로, 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서 급속하게 나타날 수 있다. 흡연이나 고지방 식사는 ...2024.12.15
-
국시 심장2024.11.1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기본 구조 심장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심장은 종격동(Mediastinum) 중앙(3-6늑골 사이)에 위치하며, 횡경막 위, 흉곽 왼쪽에 자리 잡고 있다. 심장의 길이는 약 12.5cm, 폭은 7.5cm, 무게는 약 300g이다. 심장은 심내막(endocardium), 심근층(myocardium), 심외막(epicardium)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내막은 심장의 내측에 존재하는 얇은 막으로, 혈액과 직접 접촉하며 혈관의 내막과 연속되어 있다. 심근층은 심장 수축을 담당하는 특수한 횡문...2024.11.11
-
엔클렉스 유월드 이화 전과목 총정리2024.10.121. Cardiovascular Disorders 1.1. Arrhythmia 1.1.1. Atrial Fibrillation and Flutter 심방세동과 심방조동은 가장 흔한 심장 부정맥이다. 심방세동은 비정상적이고 무질서한 심방의 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심방이 효과적으로 혈액을 펌프질하지 못하게 된다. 심방조동은 심방이 빠르고 규칙적으로 수축하는 것이 특징이다. 심방세동의 주요 증상으로는 불규칙하고 빠른 심장 박동, 호흡 곤란, 흉부 불편감, 어지러움, 피로감 등이 있다. 또한 혈전 생성 위험이 증가하여 뇌졸중의 가...2024.10.12
-
CAB2024.10.121. 심폐소생술(CPR) 및 자동제세동기(AED) 적용 1.1. 심폐소생술의 이해 1.1.1. 심폐소생술이란? 심폐소생술(心肺蘇生術, 영어: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이다. 심장마비의 경우 신속히 조치하지 않을시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인공호흡과 가슴 압박을 통해 심장과 폐 기능을 유지시키...2024.10.12